중대재해...작업현장안전, ‘디지털 혁신’으로 지킨다

기업의 산업 재해 대응 책임감↑..안전관리 시스템 이목 쏠려
4차 산업혁명·스마트 기기 등 디지털 혁신으로 재해 사전 방지

 

한국재난안전뉴스 노혜정 기자 |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이후에도 작업 현장 산업 재해는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최근 벌어졌던 두성산업 세척제 유해물질 급성 중독 재해를 비롯해, 같은 세척제로 인해 김해에 위치한 ‘대흥알앤티’에서도 작업자 13명이 급성 중독 증상을 보여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사항에 대해 점검에 들어갔다.

 

7일 산업계에 따르면, 지난 1월 27일 처벌법 시행 이후 기업들이 산업 재해에 대해 촉각이 곤두선 가운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에도 시선이 쏠리고 있다. 물류센터나 건설현장의 안전을 위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개인 보호 장비나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이 바로 그것이다. 

 

많은 기업들이 4차 산업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미래 기술을 활용해 안전한 산업현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스마트 공장 구축·IoT(사물인터넷) 활용 근로자 개인 보호 장비 구축·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디지털 혁신(Digital transformation)을 구축하고 있다.

 

디지털 혁신은 작업 현장에서 안전을 관리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다. 기술을 사용해 ▲비즈니스 프로세스 ▲회사 문화 ▲고객 경험을 개선한다. 이를 안전으로 확장하면 디지털 혁신은 또한 위험과 규정 준수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소모적인 프로세스와 관리 작업을 간소화하거나 제거하고 사무실이나 작업 현장에서 잠재적인 안전 위험을 식별하고 기업이 보다 전략적인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데이터와 통찰력을 제공한다.

 

안전은 항상 건설에서 최우선 순위였지만 종종 근로자의 방어기제를 불러일으키는 요소가 될 가능성도 있다. 안전 담당자가 잠재적 위험을 식별·해결하기 위해 일상적인 검사나 감사를 수행하고, 작업자가 적합한 과정을 따르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일반적인 일이다. 하지만 이 같은 관리는 작업자가 모니터링을 받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적대적 관계를 조장해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지만, 안전에 효과적이려면 이에 대한 지속적인 학습과 협력이 필요하다.

 

디지털 혁신은 기존 안전 관리가 더 이상 생산성을 저해하지 않고 디지털 혁신이 작업 현장의 모든 사람이 안전을 보장하는 것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 디지털 전환은 전체 작업량을 줄여주지만 안전 책임자의 필요성을 없애지는 않는다. 오히려 기술이 특히 현장에서 안전 지침의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따르기 쉽게 해, 위험을 줄이고 수익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강조한다.

 

모든 기술 공급업체가 사용 편의성을 강조하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직원이 솔루션을 빠르게 적응해 사용이 용이해야 한다. 근로자가 기술을 사용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면 기술을 도입해도 아무런 소용이 없다. 사용 편의성은 기술을 도입한 가치를 더 빨리 실현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드물게 사용되는 기능에 대한 복잡성과 고집은 장기적인 비용을 초래한다.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는 기술은 사용하기 쉽고 저렴하며, 투자수익률을 제공하고 회사의 다른 기술과 연동돼야 한다. 그들이 비즈니스에 대한 큰 그림을 제시하고 관리자가 모든 작업 현장의 세부 사항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안전보건 전문가들은 “디지털 혁신을 통해 위험을 최소화하고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찾아, 관리자들이 제대로 된 교육을 받고 작업자들을 관리하는지 항상 살펴야한다”며 “기술의 발전으로 잠재적 위험을 파악하는 데이터와 통찰력을 얻어 추후 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