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세 이상 절반은 가난.."노후 안전띠 없다"

OECD ‘한눈에 보는 연금' 2020년 기준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 소득 빈곤율 40.4%
OECD 회원국 평균(14.2%)보다 3배 가까이 높은 수치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한국의 노인 빈곤율이 1위, 자살률 1위를 차지했다.

 

OECD가 19일 공개한 보고서 ‘한눈에 보는 연금 2023’(Pension at a glance 2023)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였다. OECD 회원국 평균(14.2%)보다 3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OECD 가입국 중 노인의 소득 빈곤율이 40%대에 달할 정도로 높은 국가는 한국밖에 없다.

 

다음으로 노인빈곤률이 높은 나라는 에스토니아(34.6%), 라트비아(32.2%)로 30%대를, 일본(20.2%)과 미국(22.8%)은 우리나라의 절반 수준이다. 반면 북유럽인 아이슬란드(3.1%), 노르웨이(3.8%), 덴마크(4.3%)나, 중유럽인 프랑스(4.4%) 등이 빈곤율이 낮았다.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66세 이상 노인 인구 중 66∼75세의 노인 소득 빈곤율은 31.4%인데 비해, 76세 이상은 52.0%로 2명 중 1명 이상이 빈곤층에 속했다.
 

한편 노인 자살률이 여전히 심각하다.  2003년부터 2016년까지 우리나라는 14년 연속 OECD 자살률 1위를 기록했다. 2017년 한해 리투아니아에 1위를 내주었다가 2018년부터 2022년 현재까지 다시 불명예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노인을 공경하고, 연장자에 대한 예의가 깍듯한 우리나라지만, 노인들은 다른 나라의 노인들보다 불행하다. 그 이유는 불평등과 빈곤율, 그리고 사회적 소외감 때문이다. 

 

그중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크다. 자신의 삶을  짧게 계획(100세 시대임에도 60세까지만 일하는 것으로 계획)했으나 수명 연장으로 노년 대비를 하지못한 측면이 있다. 그래서 노후 대비를 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 대신 자식들에게 의존하겠다는 안이한 태도도 있었다. 자기 스스로 부모를 봉양했듯이 자식들도 그렇게 해주려니 했지만, 자식들은 자기 앞길도 가리지 못하는 세상이 되었다. 그래서 기댈 수 있는 입장이 아니라 역으로 보태주어야 할 처지가 되었다.

 

두 번째는 젊어서 돈을 벌기 위해 바쁘게 살다가 나이들어 일 없는 삶을 살면서 박탈감, 무력감과, 더 이상 쓸모없음에 대한 상실감 등 감정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는 일없음에 대한 무력감이다. 이는 여러 설명이 필요없이 노인들의 일자리가 극히 제한적이고, 그나마 일용직 등 하층민의 일자리만 보장되었을 뿐이다.

​​

옛날에는 나이가 벼슬이라고 나이들수록 대접받는 줄 알았더니 이처럼 사회로부터 대접받지 못하고 있다. 가족들로부터도 귀찮은 존재가 되었다. 말하자면 노인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풍속이 되어버렸다.

 

노인은 100세가 되어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해도 인간이라는 고등동물로서 마지막 순간까지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런 것이 하루 아침에 무너졌다. 결국 여기서부터 문화적 단층이 생긴다. 

 

노인이 경제적 어려움, 정보력 부족, 노인으로서의 행동력 이완, 프로그램 미비 등 이유로 인해 삶의 질이 떨어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100세 시대, 노인된 시간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에 대한 사전 계획과 교육이 필요하다. 사회적 제도 등이 뒷바침되어야 하지만, 노인 스스로 적극적 사고를 하고, 지자체 등이 만들어놓은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 등에 적극 참여하는 행동력을 보여야 한다. 비관하면 할수록 그만큼 낙오되고 도태된다.

 

어쨌든 행복한 노후 생활을 위한 사회적 교육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와함께 노년세대를 위한 복지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