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 속 피로 쌓이고 생각 무뎌지면 저체온증 위험 급증한다

추운 겨울날 저체온증 발생율 높아진다
올바른 대처방법 알아 현명하게 대처해야 한다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마지막 한파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최근 며칠 새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사람들의 옷차림이 두꺼워지고 있다. 이런 추운 겨울날 발생하는 저체온증은 신체의 냉각으로 인해 사람 내부의 온도가 36.5℃ 이하로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초기증상이 나타날 때 치료하지 않으면 질병 또는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무서운 질병이다.

특히, 건설 현장을 비롯해 야외활동이 많은 곳에서는 오랜 기간 밖에 있다보니, 날씨가 추운데도 몸이 떨리지 않으면 생각도 무뎌지는 현상이 발생할 때는 즉시라도 추위를 피해야 한다. 저체온증 현상으로, 제대로 막지 못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우리 몸의 온도가 떨어질 때마다 달라지는 신체 반응 현상이다. 

 

체내온도 신체 반응
37℃ 평상시 생활과 똑같은 상태
35℃

몸이 떨리기 시작함(저체온증 초기 반응)

33℃ 몸의 떨림이 멈추고, 반응시간·신진대사·사고과정이 느려짐(저체온증 중기 반응)
31℃ 창백한 피부, 신진대사 둔화, 극심한 피로감(심각한 저체온증)
29℃ 의식이 거의 없는 상태로, 신체적·행동적 등의 움직임이 극도로 느려짐

 

대부분의 사람들은 체감온도가 35℃도에 이르면 가벼운 저체온증을 경험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신체를 떨게 만들어 내부 열을 발생하게 만든다. 해당 표는 체내 온도가 떨어지면 신체에 어떤 일이 나타나는지 알 수 있으며, 저체온증이 우리가 모르는 사이 얼마나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실제로 10~15℃ 사이의 외부 공기 온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할 수 있다.

 

33℃에서는 몸이 떨림을 멈추기에 신체내부기관의 온도가 떨어지면서 심박수, 호흡수가 느려지고 혈압도 떨어진다. 맥박이 불규칙 해질수록 산소혈액을 공급하는 심장의 기능에 변화가 나타난다. 저체온증의 증상과 원인을 알지 못한다면 자기 자신이나 주변 사람들이 저체온증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 수 없다. 그렇다면, 저체온증으로부터 우리를 어떻게 보호해야할까?

 

저체온증 예방방법(Prevention techniques)

1) 외부온도 변화에 따라 옷차림에 변화를 줄 수 있도록 여러 겹의 옷을 껴입어야 한다. 예를 들어 100%면으로 된 반팔 티셔츠를 입고 셔츠, 겉옷 등의 순서대로 입어 외부온도가 따뜻해지면 옷을 벗어 해당 온도에 맞는 옷차림으로, 기온이 낮아 지면 옷을 껴입어 따뜻한 옷차림으로 변화를 주어야 한다. 또한, 기온이 안정적이지 않을 때는 원피스와 같은 상하가 붙은 작업복은 피하는 편이 좋다.

 

2) 물에 젖은 ‘울’은 마른 ‘면’소재보다 단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옷의 바깥 층은 ‘면’이 아닌 ‘울’과 같은 소재로 된 옷을 입어 저체온증을 대비해야 한다.

 

3) 숨쉬는 행동조차 땀 등의 물질로 체내 수분이 배출되기 때문에 체내 수분을 유지해야 한다. 물은 체내 세포들이 적절하게 활동하기 위해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에 지속적으로 수분 보충을 해줘야 한다.

 

4) 차 등의 따뜻한 음료 등을 섭취해 적절한 수분을 유지해야 한다. 따뜻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은36.5℃ 체온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알코올이나 카페인은 중요 신체 기능을 저하, 탈수유발, 신진대사 악화, 손실된 수분 보충 불가 등의 악영향을 끼쳐 저체온증 회복에 도움을 주지 않기에 해당 물질을 제외한 물질로 수분 섭취하는 것이 좋다.

 

5) 추운 장소에서 일할 시, 사무실·차량 등에 히터와 같은 열발생장비을 배치해 그 앞에서 짧은 휴식을 취해 체내 온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6) 만약 저체온 증상이 나타난다면 젖은 옷을 벗기고 건조하거나 담요, 마른옷으로 교체해줘야 한다. 가능하면 옷을 입기 전 건조기나 열발생 장치 곁에 두어 따듯한 상태에서 갈아입는 것을 추천한다. 다만, 장치 주위의 공기 순환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저체온증은 우리가 통제할 수 없기에 해당 증상, 대처방법을 올바르게 숙지해 저체온증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작업장에서는 근로자들이 주기적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사고 위험을 적극적으로 줄이는 방법"이라고 조언한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