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현장 문제, 과학기술연계로 대응한다

중앙과 지방이 협력...지역맞춤형 문제‧현안 해결 위한 신규 R&D 사업 선정
재난안전 R&D 오픈플랫폼 구축‧추진, 재난안전 혁신제품 활용 사례 공유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그간 경남 지역은 많은 매립지와 연약한 지반 여건으로 지질재난에 다소 취약했다. 하지만 내년도 신규 R&D 사업을 통해 개발되는 계측 기술을 지역 통합관제센터의 종합모니터링 시스템과 연동하여 위험상황에 대한 예측이 강화될 전망이다.

 

전남 지역에서는 여수산단(석유화학)은 다량의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는 등 폭발사고의 위험성이 높았으나, 신규 R&D 사업으로 개발되는 방폭 시스템을 활용하여 폭발의 조기 예측과 능동적인 대비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제15차 중앙-지방 재난안전 연구개발 협의체’를 통해 2024년 지역맞춤형 신규 문제해결 연구개발(R&D) 6개 사업을 최종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R&D 사업은 지역의 재난환경 여건 속에서 지방자치단체가 겪고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행정안전부와 지자체가 협력하여 R&D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0년부터 매년 새로운 사업내용을 선정하여 지원해 오고 있다.

 

협의체에서는 2024년 자치단체 협업 지역맞춤형 R&D 신규 지원사업 선정(안)과, 재난안전 R&D 오픈플랫폼 구축‧운영 방안을 논의하고, 재난안전 혁신제품의 현장 설치‧적용 사례도 공유했다.

 

먼저 지역의 재난안전 문제해결을 위해 지자체가 지역의 산·학·연과 협업하여 발굴‧기획하고 협의체를 통해 최종 선정된 2024년 지역맞춤형 신규 문제해결 R&D 6개 사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경상남도는 지반의 붕괴·싱크홀 등의 지질재난 대비 원격 변형 계측시스템이 적용된 지하 배관 변형 모니터링 및 예측 기술을 개발한다.

 

전라남도는 다량의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는 여수산단의 플랜트 폭발을 조기 예측하고 능동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멀티모달 센서 기반의 AI 방폭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 밖에도 ▴대구광역시는 ‘화재조기알고리즘을 이용한 전통시장 내 능동형 피난유도 방화천막 시스템’, ▴경기도는 ‘노후 교량 손상 진단 시스템’, ▴충청북도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출렁다리 스마트 안전진단 기술’, ▴경상북도는 ‘AI 기반 해상위기상황 자동 반응형 스마트 웨어러블 개인조난통신장치’를 개발한다.

 

올해(2023년)에는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R&D 사업을 통해 ▴등산 중 실족·추락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충북지역에서 드론 기반 산간지역 감시시스템 개발, ▴도서지역이 많은 전남지역에서 해경의 응급환자 이송 및 긴급처치 지원을 위한 원격의료지도 SW시스템 개발 등이 추진된 바 있다.

 

한편 정부는 일반국민과 전문가, 재난종사자 등 집단지성을 기반으로 재난안전 문제와 한계를 과학기술적으로 해결하는 “재난안전 R&D 오픈플랫폼”을 올해 연말까지 구축 중이며, 내년 1월부터 정식 운영할 예정이다.

 

재난안전 R&D 오픈 플랫폼에서는 재해를 유발하는 위험요인과 재난현장의 문제점을 발굴하고, 이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 민간의 아이디어를 포함한 최적의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재난안전 R&D 성과 보급‧확산을 위해 재난현장에서 구매‧활용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재난안전 혁신제품도 소개되었다.

 

대표적인 혁신제품으로는 첨단 복합센서로 급경사지 붕괴를 감지하는 계측기, 지진 재난대응 체계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게임성 교육‧훈련 프로그램, 전기자동차 화재 진화 질식소화포 등이 있었다.

 
행안부 관계자는 “다양한 과학기술을 응용하여 고질적인 재난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과학적 재난관리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중앙과 지방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서, “정부는 지자체와 적극 협력하여 재난현장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우수한 기술은 현장에 원활히 보급‧확산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