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중난류' 전에 AI로 미리 위험상황 막는다..뒷북대응 비판도

교통정보 휴대전화 드론촬영 등 통해 인파 밀집 분석 가능
재난안전관리체계TF 통해 연말까지 종합대책 수립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선임기자 |  지난 29일 발생한 이태원 핼러윈 참사 같은 대형 재난 사고 예방을 위해, 인구의 급밀집을 미리 인공지능(AI) 기술로 예측해 위기 경보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안이 추진된다.

 

그러나 이런 기술은 기존의 각종 CCTV, 교통정보, 핸드폰 위치확인 등을 이미 활용해 위험 경보를 현 수준에서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늑장 대응이란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특정 지역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운집했는지 AI 기술로 분석해 인파 집중도에 따라 위기단계를 정해 일정 기준을 넘어서면 위기경보를 발령하고 유관기관들이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는지를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교통정보와 휴대전화 기지국 정보, 드론 촬영 영상 등으로 인파 밀집도를 정확히 분석하고 위험도에 따라 관련 기관이 대처할 수 있게 할 것"이라며 "이번 참사 이후 출범한 범정부 다중밀집 인파사고 예방 태스크포스는 실시간 다중 밀집도를 분석해 위험예측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행정안전부는 특정 지역에 많은 사람이 몰렸을 때 AI 기술을 접목한 CCTV와 드론으로 '군중 난류'(crowd turbulence) 위험을 판단해 현장에 있는 사람들의 휴대전화에 소리가 울리는 경보를 보낼 수 있도록 2024년까지 2년간 연구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군중 난류란 밀집도가 극도로 높은 상황에서 많은 사람이 움직이면 위험이 발생하고, 초밀집 상황에서 압사 등의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뜻한다. 

국내외 전문가에 따르면,  '1㎡당 6명 이상'이 모였을 때가 위험 상황이며, 이번 이태원 핼러윈 참사에서는 정확하게 집계되진 않았으나,  당시 폭 4m(일부는 3.2m), 길이 45m의 좁은 골목에서 1㎡당 10-15명까지 몰리면서 압사 상황에 내몰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상민 장관은 재난안전시스템 마련과 관련, "'재난안전관리체계 개편 TF'(가칭)를 구성하고 국가재난안전시스템의 패러다임을 바꿔가겠다"며 "정부는 초기대응 시스템 개선, 예방 중심과 과학 기반의 재난관리, 신종·대형·복합재난 대응 역량 강화방안 등을 담은 종합대책을 올해 말까지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