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원스톱통합지원센터와 연계해 재난트라우마 대응체계 마련

참사 원인과 근인, 확실한 규명과 책임 소재 명확히 해야 국민 상흔 치유 가능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이태원 참사의 비극이 전국민적 슬픔을 더해주고, 그 후유증이 심각하다. 참사가 일어난 뒤 참사를 목격한 사람이나 뉴스를 접한 사람들은 가슴이 답답하고 불안하며 무섭다고 호소하고 있다. 국가가 아무런 효용성이 없다고 느낀 사람들의 절망이 깊어지고 있다.

 

심호흡과 나비 포옹법을 해도 잘 나아지지 않는다고 한다. 시험이 코앞인데 너무 불안하고 무서워서 잠이 오지 않는다는 수능 수험생도 있다. 전국민적 트라우마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치유가 절실해보인다. 
 

보건복지부 이태원사고수습본부(본부장 조규홍 복지부 장관)는 1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주재: 국무총리)에서 이태원 사고로 인한 트라우마 및 심리지원 강화방안을 논의하고 재난 트라우마 대응을 위한 상시적 대응체계 마련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태원 사고를 직접 겪은 유가족, 부상자, 현장 목격자 등에 대해서는 밀착 심리지원을 계속 이어가고, 심리지원 외에도 필요한 서비스를 통합 제공해 사고의 아픔으로부터 조속히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사고로 인한 심리지원 필요성이 큰 유가족 및 부상자에 대해서는 트라우마센터가 전담하여 심리상담과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상담 등을 통해 심층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시 정신건강전문의와 연계하여 상담 및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심리상담 과정에서 인지한 의료, 경제적 필요사항 등은 이태원 사고 원스톱 통합지원센터*로 연계하여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체계적·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고 목격자에게는 정신상담전화(1577-0199)를 통한 상담 후, 심층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민간 전문가와 연계하여 심층상담을 진행하고, 필요 시 지역사회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와 연계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고 수습을 위해 현장에서 혼신의 힘을 다한 소방, 경찰, 의료진 등 대응인력에 대해서는 기존의 기관별 지원 외에도 국가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민·관*이 합동하여 찾아가는 트라우마 집단상담을 실시하고 개인 심리상담도 병행하여 사고 수습 과정에서 얻은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사고를 간접 경험한 일반 국민에게도 재난 트라우마 교육과 홍보를 강화해 사고의 영향으로 인한 우울과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한다. 


5개 민간 학회,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등이 협력하여 사고로 인한 트라우마를 경험한 학생, 직장인 등이 속한 학교, 직장 등을 방문해교육하는 ‘찾아가는 트라우마 교육’을 실시한다. 민간학회는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한국심리학회, 한국정신간호학회,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다.

 

심리지원이 필요한 국민 누구나 한 번에 손쉽게 관련 정보를 찾아보고 도움받을 수 있도록 국가트라우마센터 누리집 내 별도 심리지원통합플랫폼*을 구축해 트라우마 극복 및 심리지원 관련 정보, 자가심리진단 및 안정화 기법 등을 제공한다.

 

또한 이번 사고로 심리지원이 필요한 국민들은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서도 국가트라우마센터에서 제공하는 전문가 상담을 신청할 수 있다.
 

더불어, 심리지원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트라우마 인지 방법, 개인이 할 수 있는 트라우마 극복법, 심리지원 안내 등 3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디지털 콘텐츠도 제공한다. 

 

조규홍 본부장은 “사고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많은 국민들이 트라우마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정부는 밀착 심리지원과 통합 서비스 연계로 국민들이 마음의 안정과 심리적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같은 대처로 국민적 상흔이 치유된다고 볼 수 없다.  철저한 진상 규명과 그에따른 책임자 처벌이 우선되어야 한다. '비극의 이태원 참사'는 사건 축소와 책임 회피, 책임 전가로 진상이 가려지고 있다는 국민적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참사가 일어난 후 행안부, 경찰청, 서울시와 용산구 등 관계 기관의 안일한 준비, 112 신고의 부실 대처, 어떻게든 희생양을 만들어 분불이하려는 마녀사냥식의 행태를 보이는 것으로는 국민적 절망의 트라우마를 치유할 수 없다. 참사의 원인과 근인, 이에 따른 확실한 규명과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는 것이 국민의 좌절감과 상실감을 치유하는 바탕이 될 것이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