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잡는 싱크홀 비상'…전국 대형 굴착공사장 98곳 살핀다

지하안전 위해선 지자체의 책임과 역할이 중요
정부, 굴착공사장 안전관리 강화방안 내놓기로
서울, 부산 등 광역지자체 지반침하 사고 원인 분석 결과와 관리계획 공유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사람잡는 '싱크홀 비상'이 걸렸다.  정부는 전국 대형 굴착공사장 98곳을 선정해 특별 점검에 나섰다. 그리고 싱크홀을 막기 위해 굴착공사장 안전관리 강화방안을 내놓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23일 '지하안전관리체계 개선 전담조직(TF)' 8차 회의를 열어 지방자치단체별 지하안전 관리 실태와 지반침하 대응계획을 점검한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등 광역지자체는 지반침하 사고 원인 분석 결과와 관리계획을 공유한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하안전을 위해선 지자체의 책임과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고, 적극적인 지반 탐사와 관내 굴착공사장의 안전관리 강화를 당부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지난 21일부터 전국 대형 굴착공사장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시작했다.

 

서울 강동구 명일동, 경기 광명시 일직동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꾸려진 사고조사위원회는 올해 6월까지 조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사고조사 결과 발표 때 국토부는 '굴착공사장 안전관리 강화방안'을 함께 내놓기로 했다.

 

도심 한복판에서 땅꺼짐 현상이 빈발함에 따라 행인과 차량의 안전이 심각하게 우려되고 있다. 난개발과 과도한 공사, 지하 토사 유출 우려와 수맥 상태 등 종합적으로 점검한 뒤 개발을 해야 한다는 대책 마련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다. 

관련기사

6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