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충북을 첨단 바이오산업의 선도기지로 조성하겠다"

청주서 24번째 민생토론회..."정부 R&D 투자 대폭 확대"
"오송 바이오 클러스터를 한국판 '보스턴 클러스터'로 만들겠다"...바이오산업 200조 시대
바이오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 조성..."반도체 이을 차세대 주력산업 육성"
이차전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첨단재생의료 글로벌 혁신 특구 조성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020년 기준 43조원 규모인 국내 바이오산업의 생산 규모를 2035년까지 200조원 시대로 열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윤대통령은 26일 "첨단 바이오산업을 반도체 신화를 이어갈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겠다"며 "2020년 기준 43조원 규모인 국내 바이오산업의 생산 규모가 2035년까지 200조원 시대를 열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바이오 분야에 정부의 연구·개발(R&D) 투자를 대폭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충북 청주 동부창고에서 '첨단바이오의 중심에 서다, 충북'을 주제로 24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석학들이 첨단 바이오산업을 미래의 '게임 체인저'로 꼽고 있다는 점을 상기하며 "무한한 기회와 엄청난 시장이 있는 첨단 바이오산업 도약을 위해 우리도 가만히 있을 수 없다. 더 속도를 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AI와 디지털이 결합한 첨단 바이오로 대전환이 이뤄지면서 우리에게 큰 기회의 문이 열리고 있다"며 "그동안 다져온 바이오 역량에,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와 양질의 의료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면서 디지털 강국으로 전환한 기술과 경험이 있는 우리의 강점을 접목하면 '퍼스트 무버'로 자리 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정부가 오는 7월 발표를 목표로 준비 중인 '대통령 첨단바이오 이니셔티브' 전체적인 방향도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 디지털 치료제, AI 로봇 첨단 융합 기기와 같은 디지털 바이오에 투자를 대폭 늘려야 한다"며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연구가 이뤄지도록 정부는 아낌없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세제 지원과 규제 개선을 통해 혁신 기술이 신속하게 출시할 수 있게 지원해 우리 기업이 시장과 산업을 선도하며 성장할 기회를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또 "첨단 바이오의 성패는 양질의 바이오 데이터를 모아 제대로 활용하는 데에 있다"며 "다양한 바이오 데이터 시스템을 연계하는 바이오 데이터 플랫폼을 만들어 산·학·연, 병원 연구자들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를 통해 의약품, 의료기기, 스마트농업 등 관련 분야에서 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 '톱5' 기업을 배출하고, 현재 연 400개 수준인 첨단바이오 벤처 및 스타트업을 2035년까지 연 1천 개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충북을 첨단 바이오산업의 선도기지로 조성하겠다"며 오송 바이오 클러스터를 한국판 '보스턴 클러스터'로 만들겠다는 청사진을 선보였다.

 

보스턴은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연구소,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하버드대학 등 주요 대학과 벤처기업 등이 몰려 있는 바이오 분야 대표 클러스터다. 윤 대통령도 지난해 4월 국빈 방미 당시 보스턴을 찾은 바 있다.

 

1994년 국가생명과학단지 국가조성 계획이 수립된 뒤 지난 30여년간 바이오 분야를 육성해왔고 2010년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질병청 등 보건의료 국책기관을 품게 된 오송을 국제적 수준의 바이오 클러스터로 키우겠다는 게 윤 대통령 구상이다.

 

윤 대통령은 이미 충북에 지정된 ▲ 바이오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 ▲ 이차전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 첨단재생의료 글로벌 혁신 특구 조성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KAIST 오송캠퍼스를 만들고 이를 KAIST 부설 AI 바이오 과학영재학교와 연계해 인재 양성의 거점으로 삼는 한편, 대학 연구기관과 바이오 기업뿐 아니라 법률·금융·회계 등 관련 서비스 기업까지 망라한 'K-바이오 스퀘어' 조성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를 통해 약 2조1천억 원의 부가가치와 약 2만9천여명의 고용 유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했다.


 

관련기사

3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