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코로나로 세계 자동차 시장 '멈칫'...소폭 증가

중국계 증가, 일본계 유지, 미국·유럽계는 감소
한국자동차산업협, 21년 해외 동향 보고서 발표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지난해 7대 세계 자동차 시장은 전년 대비 4.4% 확대됐으나 하반기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재확산과 반도체, 부품 부족 등으로 신차공급이 수요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자동차산업협회(회장 정만기, 이하 KAMA )가 세계 자동차 7대 시장 (미국, 유럽, 중국, 인도,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정책 동향을 조사, 13일 발표한 '2021년 해외 주요 자동차 시장 및 정책 동향'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대비 30.6% 확대 되었으나, 하반기엔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재확산과 반도체, 부품 부족 등으로 신차공급이 수요에 못 미치면서 전년동기대비 13.6% 축소됐다. 
 

시장별로는 인도(26.7%↑), 중국(6.5%↑), 멕시코(6.3%↑), 러시아(4.3%↑), 미국(3.1%↑), 브라질(1.2%↑)은 확대되었으나 유럽은 위축(1.5%↓)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러한 확대는 전년대비 기저 효과에 주로 기인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는 아직 코로나 이전,  2019년도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 시장은 2019년도 수준(296만대)을 상회하는 규모(308만대)를 보였고 중국 시장은 테슬라 및 NEV 판매 확대 등으로 2019년 수준(2,144만대)을 회복하고 4년 만에 확장세로 전환되었다.


미국 시장은 백신 보급 본격화, 경기 부양책 등의 효과로 크게 확대된 상반기(29.3%↑)에 비해 하반기엔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13.6%↓). 자동차 메이커(국적)별 시장 점유율은 한국계·중국계는 증가했고, 일본계는 전년 수준을 유지했으나, 유럽계·미국계는 감소했다.

 

중국계는 유럽의 EV보조금 활용을 통한 전기동력차 수출과 러시아,멕시코,브라질에 대한 저가 차량 수출 확대로 전년 대비 판매량이 24.7% 증가하면서 점유율이 2020년 15.2%에서 2021년 18.2%로 증가했다

 

일본계는 미국에서 도요타가 처음으로 GM을 제치고 판매량 1위를 보였으며, 유럽에서도 유럽계 메이커(68.8%)에 이어 2위의 점유율(11.1%)을 차지하면서 중국에서의 판매 부진에도 불구하고 전년과 동일한 수준의 전체 시장점유율을 유지했다(25.6%).


한국계는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의 시장점유율 확대로 전년대비 시장 점유율이 7.5%에서 7.9%로 증가했다. 

 

미국에서는 반도체 부족에 대한 상대적으로 양호한 대응에 힘입어 가장 높은 증가율(21.6%)을 보였으며 유럽에선 중·대형 SUV와 신형 전기차 등 고부가가치 차량 판매 확대로 점유율이 소폭 상승(1.5%p↑)했다.

 

다만, 자국 브랜드 선호가 강한 중국에서는 판매량 감소(25%↓)로 4년 연속 시장점유율이 하락하면서 2020년 3.5%에서 2021년엔 2.4%를 보였다. 한국차 시장별 전년대비 점유율 변화를 보면 미국 1.5%p↑, 유럽 1.6%p↑, 멕시코 0.7%p↑, 브라질0.7%p↑인데 비해 중국 1.1%p↓, 인도 0.9%p↓상태를 보였다. 

 

미국계는 주력시장인 미국에서 반도체 부족으로 유일하게 전년대비 4.6% 감소했으며 유럽시장에선 포드사의 유럽 사업 구조조정 등판매량 감소로 점유율이 소포 하락(1%p↓)했다. 유럽계는 유럽·중국 양대 주력 시장(유럽계 메이커 판매량의 약 80%)의 판매 부진으로 전년 대비 전체 시장 점유율이 3.2%p 하락.

 

중국에서는 반도체 부족으로 인한 생산 차질과 토종 중국계 브랜드(BYD, SAIC 등)와의 경쟁 격화로 시장점유율이 감소(3.7%p↓)했고, 유럽시장에서도 전년대비 판매량 감소 (4.3%p↓)를 보였다. 

 

세계 각 국은 전기동력차 생산 비중을 확대함과 동시에 전기차 보조금에 대한 단계적 축소계획을 발표하고 있어 전기차 소비자와 제작사에 미칠 영향 등에 대해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다. 

 

중국은 ‘전기차 보조금을 올해 전년대비 30%를 삭감하고, 내년부터 보조금 제도 폐지를 예고할 방침이다. 독일은 내년부터 전기모드 주행거리 최소 80km이상 차만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이며, 프랑스와 영국은 대당 보조금 상한액을 축소내지 축소 예정이다. 

 

지난해 한국계는 악화된 환경속에서도 전년 대비 10.8%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으나, 금년 초부터 반도체 공급난 지속과 러-우크라 사태, 원자재 가격 폭등과 부품 공급 차질, 물류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생산과 판매의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의 회복이 지연될 우려가 있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자동차산업은 반도체 수급, 물류비상승 등 단기 어려움 속에서, 미래차 전환까지 준비해야 하는 이중의 어려움에 처해있다”면서 “신 정부는 유동성 지원확대 등 단기 대책 마련과 더불어 특히, 미래차 관련 과거 획일적 규제 위주 정책에서 인센티브 위주로 정책패러다임을 전환해가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