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때 '빅5 병원'은 큰 수익 내고 공공병원은 적자 쌓여

코로나 환자 전담한 공공의료기관 적자 '눈덩이'…"정부 지침 따른 결과"
자원 총동원한 공공병원은 환자 줄어 '벼랑끝 위기'
대형 민간병원, 정부서 '손실보상금' 받으며 실적 좋아져
공공의료기관은 수익성보다 공공성이 담보되기 때문에 수익성 강조할 수 없다는 견해도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빅 5' 대형병원'은 떼돈을 벌고, 공공 의료기관들은 큰 적자를 본것으로 나타났다.  '빅5'는 서울대·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성모·서울아산병원을 말한다. 반면 공공 의료기관은 국립 중앙의료원, 적십자병원, 시도립 병원, 보건소 등을 말한다.

 

이같은 양극화 현상은 정부가 코로나 환자를 돌보는 데 있어 모든 자원을 투입한 공공병원에는 충분한 보상을 하지 않았지만, 민간병원에는 중증환자 병상 확보 등을 위해 많은 지원을 한 결과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18일 공개한 '2022 회계연도 결산서'에 따르면 공공의료기관인 국립중앙의료원의 '의료손실'은 2019년 340억원이었지만,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2020년 703억원, 2021년 577억원, 2022년 727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역시 공공의료기관인 서울적십자병원의 의료손실도 2019년 54억원에서 2020년 354억원, 2021년 116억원, 2022년 239억원으로 불어났다.

 

서울의료원도 2019년 288억원, 2020년 828억원, 2021년 738억원, 2022년 815억원으로 코로나 때 의료손실이 대폭 증가했다.

 

이밖에 전국 각지의 지방의료원 등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됐던 공공의료기관들은 2020∼2022년에 전반적으로 의료손실이 크게 늘어났다.

 

서울적십자병원 관계자는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됐을 때 코로나 환자를 받느라 다른 환자를 아예 받지 못해 환자들이 병원을 떠났다"며 "지정이 해제된 후에도 환자 수가 이전만큼 회복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적십자병원은 2020년 8월부터 2022년 5월까지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운영됐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이 병원의 외래와 입원환자는 28만5천여명이었는데, 2022년 18만7천명으로 떨어졌다가 지난해 19만8천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다소 회복했지만, 코로나 유행 전보다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은 수이다. 이 관계자는 "병원이 서울 한복판에 있어 경쟁 병원이 많다 보니 환자들이 돌아오는 속도가 더 느린 것 같다"며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운영할 때 정형외과 등 외과 의사들이 수술 환자를 볼 수 없게 되자 손기술이 떨어진다며 병원을 떠나기도 했다"고 전했다.

 

2020년 2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지정됐던 서울의료원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서울의료원 관계자는 "통상 병상 가동률이 80%가 넘는데, 코로나19가 지나간 후 감염병 전담병원 해제 당시에는 40%가 채 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병원측은 "정부 지침에 따라 다른 환자들을 내보내고 총력을 다해 코로나 환자를 본 결과 경영 상황이 악화했다"며 "정부가 더 많이 지원해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공공의료기관은 수익성보다 공공성이 담보되기 때문에 지나치게 수익성만을 강조할 필요는 없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