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윤 당선인 코로나 대응 전면에 나서라

한국재난안전뉴스 최종걸 편집인 | 국민이 단절된 일상으로는 국정을 정상화시킬 수 없다. 지금이 그런 시대다. 15일 기준 일일 코로나 확진자가 36만2338명이나 발생했고, 그중 위중증자도 1196명이나 된다. 비례해서 사망자수도 늘어나 하루 기준 최고 수치인 293명이나 발생했다. 누적 확진자 722만8천550명중 누적 사망자도 1만888명이다. 이 추세라면 국민 7명중 1명이 코로나 확진에 걸리거나 걸렸다 회복되는 수치다. 이 때문에 지난 2년간 코로나로 피해를 본 중소상공인 및 자영업 그리고 국민을 위로하기 위해 쏟아 부었던 5차례의 추가경정예산(추경)도 모자라 추가 지원책을 여야 모두가 주장한다.

 

모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떠안아야할 눈앞에 펼쳐진 숙제다. 정권을 인수할 5월 10일 이전까지는 2개월여 남아있어 얼마나 더 많은 단절과 피해규모가 늘어날지 모르는 상황이다. 방역당국과 의료계는 코로나가 정점을 치닫고 있다지만 코로나 초기 일일 100여명에서 36만명대는 믿기지 않는 수치다. 국내 일일 확진자가 전 세계 일일 확진자 200만명 이하인 상황에서 36만명대는 최고치이다. 총리부터 산간벽지 촌부까지 확진됐다가 일상으로 돌아왔다. 감기처럼 누구나 걸릴 수 있다는 환경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방역수칙이 있는지조차 무색케하는 최다 확진자 속에 그나마 치명율이 낮은 것을 위안으로 삼아야하는 건 의료진과 방역당국의 사투에 가까운 헌신이 숨겨있다. 우리가 확진되는 건 자유지만 그 자유를 치료하고 회복시키는 건 의료진의 몫이 됐다. 감당하기에 벅찬 상황인 것 같다. 코로나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습하지 못하면 모든 일상의 정상화는 더디고 경제적 부담은 사망 못지않은 고통을 동반할 수 밖에 없다.

 

우리에게 코로나를 전파한 중국은 올해 국정 주요목표로 코로나 제로를 천명했다. 중국 당국은 애플 아이폰 제조공장 등 정보통신기기의 세계 공급망의 중심축인 중국의 실리콘벨리로 불리는 광둥성 선전시 등 도시 곳곳에 봉쇄령 조치를 취했다. 당장 애플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은 선전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선전시는 상주인구 약 1750만명으로 하루 확진자가 60여명 발생하자 가혹하리만치 단호한 봉쇄조치와 함께 공장 폐쇄까지 시켰다. 우리로 치면 군단위에도 미치지 못하는 코로나 확진자에도 코로나 확산을 선제적으로 차단하는 반복된 조치가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를 통제할 수 없다면 일상과 경제회복을 되돌리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각국이 각기 다른 정책을 펴고 있어서 딱히 묘안이라 부를 수는 없지만 코로나로 인한 불편과 경제적 손실은 누적되고 있다. 공급망이 얽혀 원자재 수급은 물론이고 피해를 입은 이들에게 지급된 추경은 물가를 자극했고, 그 추경에서 비롯된 재정적자는 악순환으로 고리로 이어지고 있다.

 

누구도 코로나의 끝을 장담하는 이가 없는 상황이다. 윤 당선인이 인수해야할 가장 버거운 짐은 코로나일지도 모른다. 안철수 인수위원장의 경우 두 차례에 걸쳐 직접 코로나 확진자를 치료하는 의료현장에서 의료봉사를 한 당사자이다. 방역당국의 사령탑격인 현 보건복지부 차관 역시 코로나 확진으로 격리시절 재택치료 경험을 갖고 있다.  코로나 확산 통제와 치료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을 마련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당사자들이다.

 

코로나는 서류상 인수가 아니다. 현재도 예측할 수 없는 위기국면인 만큼 윤 당선인이 전면에 나서 위기상황 대응력을 보여줘야 한다. 반려견과 한강변을 산책하거나 상인들과의 국밥 회동을 하는 등의 친서민행보는 코로나가 통제된 후에도 늦지 않다.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