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왕벚꽃축제는 바가지 축제냐? 순대 6개 든 순대볶음 하나에 25000원

집단 식중동에 걸려 80명이 신고...'관광 제주' 이래야 되는가 
그릇된 상혼 바로잡고, 음식점의 위생관리 및 정직한 관광문화 정착 필요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제주 왕벚꽃축제는 바가지 축제인가? 순대 6개들이 순대볶음 하나에 값이 25000원으로 바가지 요금 논란을 빚고 있다. 여기에 집단 식중동에 걸려 80명이 신고했다. '관광 제주' 이래야 되는가.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18일 제주시 전농로 왕벚꽃 축제에서 바가지요금이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왕벚꽃축제 일부 노점에서 순대 6개가 든 순대볶음을 2만5000원에 판매했다는 것. 이같은 내용의 글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퍼지면서 바가지요금 논란이 일고 있다.

 

그렇잖아도 제주도 여행이 일본이나 동남아 여행보다 비용이 많이 든다고 하여 해외로 나가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일부 그릇된 상인들의 바가지 요금 등으로 제주 이미지를 실추시키고, 결국 관광 제주의 경제를 크게 훼손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근본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또한 제주시 전농로 왕벚꽃 축제 방문객 80명이 집단 식중독 의심 증상을 보여 보건 당국이 역학조사에 나섰다. 18일 제주보건소에 따르면 지난달 28∼30일 열린 '제18회 전농로 왕벚꽃 축제' 축제장에서 음식을 먹은 후 식중독 의심 증상이 나타났다는 신고 접수가 이어지고 있다. 이날 오후 기준 사례자는 총 80명으로 집계됐다.


제주보건소 관계자는 "식중독 의심 사례를 보이는 왕벚꽃 축제 방문객들은 대부분 설사와 구토, 복통 등 장염, 식중독 증세를 보이고 있다"면서도 어떤 음식을 먹었는지에 대해서는 "역학조사 중으로 자세한 내용을 밝힐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사흘간 열린 해당 축제의 방문객 수는 주최(삼도1동 축제추진위원회) 측 추산 약 20만명(중복 포함)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식중독 의심 증상 사례는 더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제주도가 지역축제의 메뉴판에 음식사진을 넣거나 샘플 모형을 게시하도록 권고하고 축제장에 바가지요금 신고센터를 두는 등의 '지역축제 바가지요금 관련 관리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관광제주의 명성을 되찾으려면 상인들의 그릇된 상혼을 바로잡고, 음식점의 위생관리 및 정직한 관광문화 조성이 필요해보인다. 불쾌감을 갖고 제주를 떠난 관광객은 두번 다시 돌아오지 않고, 나쁜 이미지만 증폭돼 오히려 더큰 손실이 온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관련기사

2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