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노혜정 기자 | 지난 1월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근로자들이 현장에서 목숨을 잃었다. 올해 1분기만 전국의 건설 현장에서 55명이 목숨을 잃는 등, 아직까지도 미흡한 안전관리에 대한 지적이 나온다. 작업자와 감독자는 작업을 완료하는 동안 즉석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지만, 이 와중에도 안전에 대해 안일한 태도를 유지해선 안 된다. 특정 작업을 진행할 때 장애물을 마주할 수 있으며, 감독자와 안전 전문가가 함께 협력해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한다. 28일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의 발표에 따르면, 2022년 1분기 사망사고가 발생한 100대 건설사는 7개 사며, 관련 하도급사는 8개 사다. 지난 분기 대비 100대 건설사는 7개 사, 하도급사는 8개사, 사망자는 3명이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2022년 1분기 공공공사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11명이며, 민간공사는 44명이다. 국토교통부는 사망사고가 발생한 15개 대형건설사와 관련 하도급사에 대해 6월까지 특별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4분기 이상 연속으로 사망사고가 발생하거나 중대한 건설사고가 발생한 건설사의 경우, 기간을 확대해 추가 인력을 투입하는 집중
한국재난안전뉴스 노혜정 기자 | 기술이 발전하면서 작업 현장에서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안전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하기 기업이 늘어나는 가운데, 안전은 물론 생산성 제고로도 이어지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고 있는 만큼, 안전보건 예방을 위한 AI의 역할이 주목된다. 18일 세이프티앤헬스(Safety & Health) 및 산업계에 따르면, 작업자가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이 가져오는 이점에 대해 접근성을 높여 이를 작업자에 제대로 구현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모든 경우의 수에서 최적의 안전 표준을 달성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수를 고려한 최적의 솔루션이 필요하다. 최근 몇 년 동안 강력한 보건·안전 작업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급격히 증가했다. 하지만 자동화와 사회적 상호 작용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 역시 중요한 요소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며 기술은 의사소통과 운영의 무균적인 방법으로 여겨질 수 있다. 영국의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인 ‘FYLD’는 사용자 친화적이고 종합적인 평가를 대규모로 출시했다. 이를 통해 건강·안전 표준뿐만 아니라 생산성 수준에도 힘을 실어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