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복귀한다, 안한다 분규 1년째...안돌아오면 유급·제적 불가피?

의대생 복귀시한 임박... 집단휴학 불가 방침과 엄격한 학칙 적용 내세우며 학생들 압박
연세대·고려대·경북대 21일 시작으로 시한 순차 도래…이달 말까지 '데드라인'
교육부 "집단휴학 불가" 거듭 천명…대학도 휴학계 반려·설득전 집중
눈치보기 여전 대규모 복귀 움직임 없어…학칙상 편입 충원 가능성도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의대생 복귀 한다, 안한다. 의학 분규가 어언 1년이 되어간다. 그런 가운데 의대생 복귀시한이 임박했다는 말도 나온다. 의대생들이 안 돌아오면 대규모 유급·제적이 불가피하다고 한다. 

 

연세대·고려대·경북대 21일 시작으로 시한 순차 도래를 말하고 이달 말이 '데드라인'이란 말이 나오고 있다. 교육부는 집단휴학 불가를 거듭 천명했으며, 대학도 휴학계 반려·설득전도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아직도 '눈치보기'가 진행돼 대규모 복귀 움직임은 없다는 것이 의료계의 판단이다.  그런 가운데 학칙상 편입 충원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정부와 대학이 미복귀 학생은 학칙에 따라 엄정하게 처분하겠다고 거듭 경고한 가운데 일부 대학은 결원을 편입학으로 채우는 방안도 고심 중인 것으로 19일 알려졌다. 대부분의 학교가 전체 학사일정의 4분의 1가량 되는 시점까지 복학신청이나 등록하지 않을 경우 유급·제적하도록 학칙으로 정하고 있어 해당 시점까지 돌아오지 않는 학생에 대한 처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내년도 의대정원 동결이란 정부의 양보에도 의대생들의 미복귀로 인한 유급·제적이 현실화할 경우 의협 등 의료계 일각의 반발이 불 보듯 뻔해 의정갈등은 더욱 심각한 양상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작지 않아 보인다.

 

연합뉴스의 분석 보도에 따르면, 고려대, 연세대, 경북대는 21일을 등록 시한으로 잡았다. 고려대 측은 지난 11일 최종 등록·복학 신청 마감 기한을 이달 13일에서 21일까지로 연기하면서 "올해는 모든 학년의 학사 일정, 수업 일수, 출석, 성적 사정 등에 대해 학칙에 따라 원칙대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고려대 관계자는 "학생들과 계속 면담하고 있고 기한에 대해 다시 상기하면서 복귀해달라고 설득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경북대도 지난 13일 의대생들에게 보낸 가정통신문에서 "지난해 2학기 말(2025년 2월28일)로 휴학 기간이 종료된 사람은 오는 21일까지 복학 신청을 해야 한다"고 알렸다.

 

다음 주를 복귀 시한으로 정한 대학은 건양대(24일), 서울대·이화여대·부산대(27일), 경희대·인하대·전남대·조선대·충남대·강원대·가톨릭대(28일) 등이다. 경상국립대도 28일까지로 보고 있으나 변동 가능성은 있다. 을지대는 30일, 아주대·충북대·한양대·단국대·차의과대·가톨릭관동대·건국대는 31일까지 학생들을 기다려보기로 했다.

 

성균관대·중앙대·영남대·계명대·대구가톨릭대·한림의대는 복귀 시한을 구체적인 날짜로 못 박진 않았다. 순천향대는 개강일을 24일, 가천대와 울산대는 31일로 미룬 상황이라 조금 더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원광대와 전북대 역시 개강일이 늦어지면서 4월 초·중순께까지 기한을 줄 방침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제 의대생에게 주어진 시간은 적게는 이틀, 길어야 2주 안팎이다. 이때까지 돌아오지 않는다면 대규모 유급·제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대부분 대학이 미등록 시에는 제적, 등록 후 수업을 듣지 않을 경우 유급시키도록 학칙에서 정하고 있어서다.정부와 학교는 집단휴학 불가 방침과 엄격한 학칙 적용을 내세우며 학생들을 압박하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18일 각 의대에 보낸 공문에서 "형식적으로는 개인 사유에 의한 휴학 신청이나 실질적으로는 집단적인 대규모 휴학 신청에 대해서는 승인하지 않도록 조치해달라"고 재차 주문했다.

 

관련기사

1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