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극적으로 휴전이 성립되었지만 '불안한 휴전'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이는 이스라엘이 휴전 타결 이후에도 폭격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10월 이후 헤즈블라 전사자가 4000명에 달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AFP, 로이터, AP 등 외신에 따르면, 작년 10월 이스라엘과 분쟁 발발 이후 레바논의 친이란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전사자가 최대 4000명에 달할 수 있다고 이스라엘 현지 일간지 타임스오브이스라엘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헤즈볼라를 겨냥한 군사 작전에 정통한 소식통은 "이란의 지원을 받는 테러 단체(헤즈볼라)가 최대 4000명을 잃었을 수 있다"며 "이는 2006년 이스라엘과 한 달간 전쟁에서 사망한 인원의 10배가 넘는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이어 "대다수는 이스라엘이 (지상전) 공세를 강화한 지난 9월 이후 사망했다"고 덧붙였다. 레바논 보건부는 작년 10월 가자지구 전쟁 발발 이후 지난 26일까지 레바논에서 이어진 헤즈볼라와 이스라엘의 무력 충돌로 3961명이 숨지고 1만6520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했다. 레바논 보건부는 사상자 집계에서 전투원과 민간인을 구분하지 않는다. 이스라엘군은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미 대통령 하나 바뀌니 해결 기미가 보이지않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휴전에 돌입했다. 그동안 전쟁을 반대해오던 미 민주당 정권이 오히려 중동전, 우크라이나 전쟁에 깊숙이 빠져드는 모습을 보고 세계 지성은 미국 민주당과 바이든 정권의 부도덕성을 비판해왔다. 전통적으로 군산복합체와 함께 가는 듯한 미 공화당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되자 전쟁 국면을 휴전 국면으로 잡아가고 있다. 트럼프의 독선적 자국주의에 대한 비판과 달리 그가 전쟁을 종식시키겠다는 점에 대해 전쟁 지역은 물론 세계 지성이 환호하고 있다. 휴전 소식이 전해지자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 공항에선 고향으로 귀향하려는 사람들로 북적였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스라엘과 친이란 무장단체 헤즈볼라가 휴전에 돌입한 27일(현지시간) 오전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 공항에는 고향으로 가는 비행기를 기다리던 승객들로 북적였다고 전한다. 수개월 만에 레바논에서 교전이 멈춘다는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국외에 머물던 많은 사람이 서둘러 귀국길에 오르면서 많은 항공편이 순식간에 매진됐다. 커다란 여행가방을 두개씩 챙겨온 사람들, 가족과 친지를 마중 나온 현지인들이 가득 들어찬 모습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