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장수빈 기자 | 지난해 건강보험 재정이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의료 이용은 늘었지만 보험료 등 수입 증가가 지출 증가 폭보다 컸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22년도 건강보험 수입이 88조7773억원, 지출은 85조1482억원으로, 3조6291억원의 당기수지 흑자를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2011∼2017년 7년 연속 흑자였던 건보 재정은 보장성 강화 등에 따른 의료비 지출 증가로 2018년 1778억원, 2019년 2조8243억원, 2020년 3531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그러다 2021년 코로나19로 의료 이용이 줄면서 다시 2조8229억원의 흑자로 돌아선 바 있다. 작년까지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하면서 건보 누적 적립금은 23조8701억원으로 늘어났다. 이는 급여비 기준 3.4개월분이라고 공단은 설명했다. 작년 건보 수입과 지출은 전년 대비 각각 10.3%, 9.6% 증가했다. 수입의 경우 지난해 9월 시행된 건보료 부과체계 2단계 개편으로 지역가입자 보험료가 줄었음에도 소득 증가와 경제 성장으로 최근 5년 사이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상용 근로자 수가 늘면서 직장가입자 수가 3.2% 증가했고, 경제 성장(2021년 4.1%)
한국재난안전뉴스 장수빈 기자 | 롯데손해보험(대표 이은호)은 1분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각각 315억원과 228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롯데손보의 1분기 장기보장성보험 원수보험료는 451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했다. 1분기 영업이익은 31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41.74% 줄었지만, 지난해 1분기 사옥매각으로 인한 일회성 비용 267억원을 제외하면 14.9% 개선됐다. 이러한 이익 측면에서 지난 2021년 1분기 이후 5분기 연속 흑자 기록을 보여준다. 롯데손보는 이를 장기보장성보험의 성장을 바탕으로 한 ‘보험업 본연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이익체력이 개선된 것이라고 설명한다. 또 손해율과 사업비 모두 개선되어 사업 경쟁력도 높아졌다. 1분기 롯데손보의 전사 손해율은 84.9%, 사업비율은 21.0%로 전체 합산비율은 전년동기 대비 1.2%p 개선된 105.9%를 기록했다. 한편 롯데손보는 내년 도입될 신지급여력제도(K-ICS) 계획에 따라 자산 포트폴리오를 리밸런싱(Rebalancing, 재조정)하고 퇴직연금 적립액을확대하는 등 기존의 선제적 리스크 관리 전략을 더욱 심화할 예정이다. 롯데손보 관계자는 “장기보장성보험 중심
한국재난안전뉴스 노혜정 기자 | 롯데손해보험(대표 이은호)은 지난해 순이익 1233억원을 기록, 대주주 변경 2년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339억원으로 전년 310억원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영업실적 등에 대한 전망’ 공시를 통해, 2021년 영업이익 1479억원의 90.5%에 달하는 것으로 계획된 경영목표를 사실상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롯데손해보험의 흑자전환은 대주주 변경 이후 2년 만으로, 그동안 강력하게 추진해온 ‘보험업 본연의 경쟁력 강화’의 성과로 보인다. 롯데손해보험은 장기보장성보험 중심의 보험업 포트폴리오 개선을 지속하고 자산 리밸런싱·리스크 관리 강화 등에 집중하면서 보험영업이익과 투자영업이익의 체질 개선을 동시에 진행했다. 신계약가치와 내재가치가 우수한 장기보장성보험 매출은 성장세를 이었다. 지난 2019년 1조2843억원이었던 롯데손해보험의 장기보장성보험 매출은 2020년 1조5009억원으로 전년 대비 16.8%, 지난해에는 1조6890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2.5% 성장했다. 전사적 리스크 관리에 따라 같은 기간 손해율은 87.5%로 2019년 말 96.5%에 비해
한국재난안전뉴스 김세미 기자 | LG디스플레이(대표 정호영)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판매 호조 등에 힘입어 지난해 영업이익이 3년만에 흑자로 전환됐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연결기준 연간 영업이익이 2조2306억원으로 흑자 전환했고, 매출액은 29조8780억원으로 전년보다 23.1%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LG디스플레이의 연간 영업이익이 흑자를 낸 것은 액정표시장치(LCD) 사업 호황기였던 2018년 이후 3년만으로, LG디스플레이는 2019년과 2020년 각각 1조3594억원, 291억원의 적자를 낸 바 있다. 특히, 대형 OLED 사업은 손익분기점(BEP)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OLED TV 출하량은 전년 대비 72.8% 증가한 680만대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LG디스플레이는 전세계 TV 완성품 업체에 대형 OLED를 공급하고 있다. 애플 아이폰13 시리즈 일부에 중소형 OLED를 공급한 효과도 컸다. 아이폰13 시리즈는 지난해 중국에서 6주 연속 1위를 차지하는 등 흥행을 이어갔다. LG디스플레이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4763억94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9.7%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