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농촌의 인구 감소와 그에따른 빈 집들. 이로인해 농촌이 황폐화되어 빈집이 농촌의 흉물이 되고, 여러가지 사회문제들이 일어나고 있다. 빈집을 계속 방치하게 되면 악취와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범죄‧안전 등의 문제로 주변 주민 불안이 가중되고, 생활 여건이 열악해져 인근 주민이 떠나가게 되며, 이는 빈집 확산과 지역 전체의 침체로 이어지고 있다. 인구소멸 지역으로 지정된 ㄱ군에 사는 B씨는 “빈집으로 방치된 옆집이 노후화되어 폭우 등으로 붕괴될 우려가 있는 데다, 폐가전제품 등 쓰레기 무단 투기로 지역 경관을 훼손하고 있다”며 군청에 시급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ㄱ군은 행안부와 함께 방치된 빈집을 철거하고 그 자리를 주민 쉼터로 바꾸게 되면서, 쓰레기가 쌓이며 나던 냄새도 없어지고 안심하고 주변을 다닐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사업이 전국적으로 일어나면 얼마나 좋을까. 그히 제한된 일부 지역에서만 아루어지니 위화감만 조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사업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주민들은 기대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저출생・고령화, 수도권 집중화 등으로 늘어나고 있는 농어촌 빈집 문제에 실효적으로 대응하기 위
한국재난안전뉴스 장서희 기자 | CJ제일제당(대표 손경식 최은석)은 세계 해양의 날을 맞아 부산 사하구에 위치한 다대포 해수욕장을 두 번째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전을 위한 임직원 봉사활동을 펼쳤다고 9일 밝혔다. ‘반려해변 제도’는 해양쓰레기 수거, 경관 개선 등을 목표로 일정 구간의 해변을 입양해 반려동물처럼 가꾸고 돌보는 민간참여형 해변관리 캠페인이다. CJ제일제당은 앞서 2021년 인천 마시안 해변을 첫 반려해변으로 입양했으며 3년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자연경관이 수려해 여름철 대표 휴양지로 꼽히는 부산 다대포 해수욕장은 휴가철 전후로 정화활동의 필요성이 높아 두 번째 반려해변으로 입양했다. CJ제일제당 임직원 50여 명은 부산 다대포 해수욕장과 인천 마시안 해변 해수욕장 및 인근 해안도로에서 폐플라스틱 등 쓰레기를 수거했다. 참여한 직원들은 쓰레기 종류를 구분해 분리 배출하고 양을 실시간으로 기록했다. 수거된 쓰레기는 해양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될 예정이다. CJ제일제당은 연간 3회 이상 반려해변 정화활동을 실시하고 있으며, 올 하반기에도 국제 연안정화의 날(9월 17일)과 연계한 환경보호 캠페인에 적극 동참할 계획이다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지구를 누가 지킬 것인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더욱 늘어난 일회용품 사용 증가 속에 우주에서 이런 쓰레기 문제가 찍힐 정도로 확인됐다. 10일 얼스라이즈미디어(Earthriss Media) 등 외신에 따르면,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 영상과 인공지능을 사용해 플라스틱 쓰레기 더미가 우주촬영을 통해 지도화됐다. 스리랑카 해변의 불타는 쓰레기에서부터 강으로 스며드는 인도네시아 유적지까지 글로벌 플라스틱 워치(Global Plastic Watch, GPW)가 실시간으로 플라스틱의 움직임을 세계 지도에 표시한다. GPW는 호주의 자선단체 민데루 재단(Minderoo foundation)이 전액 지원했으며, 플라스틱이 바다로 흘러드는 것을 막기 위해 고안된 프로그램이다. 파비엔 로리엘(Fabien Laurier) GPW 핵심 설계자는 "이것은 이름을 짓고 수치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돕고 정보를 가지고 정부에게 힘을 실어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매일 매 분마다, 트럭 한대 분량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세계의 바다로 들어가 매년 약 10만 마리의 해양 포유 동물의 목숨을 위협한다.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