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유수호 기자 |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에서 수행한 '2022년 항생제 내성 인식도 조사' 결과 많은 국민들이 세균 감염질환이 아닌 경우도 항생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등 항생제의 용도에 대해 약 74%가 잘못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인과 의료인 모두 항생제 사용에 대한 인식개선이 시급한 가운데, 질병청은 오는 18일부터 일주일간 '2023년 항생제 내성 예방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을 맞이해 항생제 내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과 올바른 항생제 사용문화 정착을 위한 것이다. 한편 세계보건기구는 2015년 항생제 내성 글로벌 행동계획에 따라 해마다 11월 18일에서 24일까지를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으로 지정하고, 국가별 실정에 맞는 캠페인을 운영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이에 국내에서도 이 기간을 활용해 2017년부터 해마다 일반 국민과 의료계의 항생제 적정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집중 홍보를 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의사가 불필요한 항생제 처방을 하게 되는 경우는 ▲2차 세균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처방 40.9% ▲항생제 필요상황 구분 어려움 22.2% ▲환자 요구로 처방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선임기자 | "내 몸에 맞는 항생제를 투여하고 있나요?"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18일~24일)‘을 맞아, 항생제 내성 인식과 예방수칙 준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5년부터 매년 11월 셋째 주를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World Antimicrobial Awareness Week ; WAAW)’으로 지정, 각 국가별 캠페인 실시를 권고하고 있다. ‘항생제’란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거나 죽여서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로, 항생제를 개발사용하면서 감염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줄고 인간의 평균 수명도 크게 향상됐다. 그러나 항생제 사용과 함께 항생제 내성을 보이는 세균이 발견되었고, 항생제 과다 사용 및 오남용은 내성을 증가시켜 항생제에 효과가 없어 치료가 어려운 상황에까지 이를 수 있다. WHO는 항생제 내성이 인류가 당면한 공중보건 위기라고 선언하고,「2015년 항생내 내성 글로벌 행동계획을 제시하며, 항생제 내성 인식 개선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5대 전략목표)를 설정했는데, ▲사회적 인식제고 ▲감시체계 구축 ▲예방을 통한 감염 감소 ▲적정사용 ▲연구개발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선임기자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항생제 내성 전문위원회와 감염병 관리위원회 열어 9일 제2차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발표했다. 항생제는 감염병의 치료제로, 항생제에 듣지 않는 내성균 출현 및 확산은 국민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특히 항생제 내성균은 사람, 농·축·수산, 식품, 환경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전파되기 때문에 범부처 대응이 필요하며, 국가 간 인적·물적 교류 과정에서 확산할 가능성이 높아, 국제공조가 필수적이다. < 2019년 항생제 사용량(DID(DDD/1,000명/일) > 국가 네덜란드 핀란드 이탈리아 스페인 한국 터키 그리스 사용량 9.5 14.7 21.7 24.9 26.1 31.9 34.1 (자료원: OECD Health Statistics 2021) 항생제 사용량은 항생제 내성균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9년 국내의 인체 항생제 사용량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9개국 중 3번째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인체(축·수산) 분야 항생제 사용량도 타국가와 비교하여 많으며, 세계보건기구(WHO) 지정 최우선 중요 항생제 사용량이 증가 추세에 있다. 국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