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학교급식과 어린이 기호식품 안전한가. 새학기가 시작되면서 어린이·청소년들이 기호식품 판매점을 자주 찾게 된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학교·유치원 급식시설 등 1만여 곳, 학교·학원 주변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 2만 3000여 곳에 대한 위생관리 강화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위생관리에는 조리도구·조리식품 등도 수거·검사를 병행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새학기를 맞아 어린이·청소년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학교 급식시설, 식재료 납품업체, 학교 주변 식품판매업체 등을 대상으로 24일부터 3월 24일까지 교육청, 지자체와 함께 위생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점검 대상은 유치원 및 초·중·고‧대학교 급식시설, 식재료 납품업체 1만여 곳과 학교·학원 주변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내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 2만 3000여 곳으로 선정했다. 특히 이번 점검은 학교·학원 주변 무인점포와 과거 행정처분 이력 등이 있는 위생취약업소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무인점포 현황은 2022년 728개소에서 2023년 1030개소, 2024년엔 1238개소로 크게 늘어났다. 주요 점검 내용은 ▲소비기한 경과 제품 보관·사용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초중고 학생들의 신학기가 시작되면서 전국 곳곳에서 안전한 학교급식을 제공하기 위해 점검에 나서고 있다. 지난 5, 6월에 서울 고등학교 2곳의 급식에서 나온 열무김치에 개구리 사체가 연이어 발견되면서 교육부와 교육청은 남은 1학기 동안 열무김치를 급식에서 배재했다. 이에 교육부는 시도교육청, 식품의약품안전처·지자체 등과 함께 전국 학교급식에 납품되는 열무김치 제조업체 170개여소에 대한 점검을 실시한 바 있다. 위같은 사고와 여름철 식중독 관련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서울시 교육청은 지난 개구리 급식과 같은 사태를 막고 식품안전사고 예방력과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식품안전정보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이물질 및 식중독 사고와 관련한 사례 및 통계정보 등을 토대로 식품안전사고에 대한 사전 주의로 사고를 예방한다. 대전시는 관내 학교 개학시기에 맞춰 지난 22일부터 3주간 학교급식 공급 업체를 대상으로 특별 점검에 나선다. 방학동안 중단됐던 식재료 공급 업체의 위생관리를 확인하고 업체 관계자들의 경각심을 높여 여름철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전라북도 교육청은 안전한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을 위해 납품업체를 대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