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새로운 유형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나타났다. 야생조류 분변에서 H5N3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최종 확인됐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하 중수본)는 지난 2일 전북 군산 만경강 유역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 대한 조류인플루엔자 정밀검사 결과, 11일 H5N3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최종 확진되었다고 밝혔다. 이 유전자는 새로운 유형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확산 방지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해 가금류 농장 종사자는 사육 중인 가금에서 폐사 증가, 산란율 저하 등 주요 의심증상 뿐 아니라 경미한 증상(사료섭취 저하, 침울, 졸음, 호흡기 증상, 녹변(녹색 설사)이 확인되어도 즉시 방역 당국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AI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8개 유전자중애는 HA와 NA의 조합으로 바이러스의 혈청아형을 구분하는데, HA는 H1~16아형이 있으며, NA는 N1~9아형이 있다. 이번 고병원성 확인은 시료채취(10.2) → H5형 확인(10.8) → H5형 고병원성 확인(10.9) → H5N3형 고병원성 최종 확진(10.11)으로 밝혀낸 것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산림조합중앙회(회장 최창호)는 16일 장마철 폭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에 대비해 비상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산사태 모니터링 및 피해 최소화에 나섰다. 현재 수도권과 강원·충청·전라 지역 등에 장마철 집중호우가 계속됨에 따라 지반약화, 도로 비탈면 붕괴, 산지 토사유출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산불 피해지역에서는 산사태 및 고사목 전도 등의 2차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산림조합중앙회는 비상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전국 회원조합과 함께 비상대기 인력 배치 및 산사태 위기단계별 모니터링, 취약지역 현장점검 강화, 인명·재산 피해 예방조치를 실시한다. 또한 산림조합중앙회는 지난달 25일부터 산림경영지도원을 통해 산사태 재난 방지를 위한 집중 예찰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여름철 산림재해 대책기간인 10월 15일까지 계속할 예정이다. 산림조합중앙회는 산림청 등 산림기관, 지자체 등과 적극 협력해 산림 인접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산사태 주민행동요령’ 홍보, 풍수해 발생 시 주민안전 확보, 피해 복구 등에 임할 계획이다. 최창호 산림조합중앙회장은 “장마철 산림재난 피해를 최소화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