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아제르바이잔 항공 소속 여객기가 크리스마스날인 25일 카자흐스탄 악타우 인근에서 추락했다. 이 사고로 56명이 사망하고, 28명이 생존했으나 중상자가 10명이나 돼 사망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의 타스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아제르바이잔 항공 소속 여객기가 카자흐스탄 악타우 인근에서 추락했다. 카자흐스탄 당국은 여객기에 탑승한 72명 중 28명이 생존했다고 밝혔다. 카자흐스탄 당국 발표에 따르면 여객기에는 승객 67명과 승무원 5명이 타고 있었다. 카자흐스탄 비상상황부에 따르면 추락 사고 생존자가 28명이며, 이중 22명이 병원으로 이송됐다고 밝혔다. 10명은 생명이 위독한 상태라고 리아노보스티통신은 전했다. 현지 통신사인 카즈인폼에 따르면 사고 여객기의 탑승객은 국적별로 아제르바이잔인 37명, 카자흐스탄인 6명, 키르기스스탄인 3명, 러시아인 16명이었다. 구조 당국은 사고 현장에 구조대원 52명과 장비 11대를 급파했다. 러시아 매체들에 따르면, 이 비행기는 아제르바이잔 항공 J2-8243편 엠브라에르 190 기종으로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출발해 러시아 체첸공화국의 그로즈니로 가던 중이었다. 인테르팍스통신은 여
한국재난안전뉴스 이용훈 기자 | 「2024 중앙아 3개국 경제사절단」의 주요 참가기업으로 동행 중인 현대엔지니어링(대표 홍현성)이 투르크메니스탄에 이어 카자흐스탄에서도 화공플랜트(Process Plant) 관련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2024 중앙아 3개국 경제사절단」은 산업통상자원부 및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등 정부 주요 관계부처 주관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 목적 중 하나인 경제협력을 담당할 주요 기업들이 포함됐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앞서 지난 10일, 한-투 양국 정상이 임석한 가운데 투르크메니스탄 국영가스공사 투르크멘가스(Turkmengas) 및 국영화학공사 투르크멘히미야(Turkmenhimiya)와 논의 중인 2건의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이틀 후인 12일, 카자흐스탄 수도 아스타나에 소재한 악 오르다(Ak Orda) 대통령궁에서 카자흐스탄 국영석유가스공사 카즈무나이가스(KazMunayGas JSC)와 석유/가스 및 석유화학 분야 협력관계 수립을 위한 협력계약(CA, Cooperation Agreement)을 체결했다. 본 체결식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수호 기자 | SK에코플랜트(대표 박경일 조정식)가 카자흐스탄 최대 도시 알마티를 순환하는 총 길이 66km의 '알마티 순환도로'를 개통했다. 이번 사업은 운영수익까지 확보가 가능한 민관협력사업(PPP) 프로젝트로 향후 16년간 SK에코플랜트가 운영을 맡게 된다. 19일 SK에코플랜트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의 수도권제1순환도로 격인 '알마티 순환도로'는 해당 국가가 진행한 첫 인프라 민관협력사업(PPP)이다. 카자흐스탄 알마티 순환도로의 길이는 66km(4~6차로)로 총사업비는 7억 4000만달러(약 9500억원), 공사비는 5억 4000만달러(약 7000억원) 규모다. SK에코플랜트는 한국도로공사를 비롯해 알랄코(Alarko), 마크욜(Makyol) 등 튀르키예 건설사 두 곳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에 참여했다. 컨소시엄 구성사 외에 KIND(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가 추가로 투자에 참여했다. 알마티 현지에서 지난 16일 진행된 개통식에는 카라바예브 마랏(Karabayev Marat) 카자흐스탄 산업인프라개발사업부(MIID) 장관, 조정식 SK에코플랜트 에코솔루션BU 대표, 박내천 카자흐스탄 총영사 등 양국 정부 및 사업 관계자들도 참석
한국재난안전뉴스 장수빈 기자 | 장동현 SK 수펙스추구협의회 커뮤니케이션위원장 겸 SK㈜ 부회장이 유럽과 중앙아시아 4개국을 방문, 2030년 세계박람회(World Expo, 이하 엑스포)의 부산 유치 활동을 벌였다. 19일 SK에 따르면 장 부회장은 이날 부산 엑스포 유치 활동을 위해 크로아티아로 출국했다. 장 부회장은 21일 크로아티아 정부 관계자들을 만나 부산 지지를 요청하는 한편, 양국 정부와 기업간 협력 모델 구축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앞서 장 부회장은 지난 12일부터 4박 5일간 카자흐스탄과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를 잇따라 방문, 주요 인사들을 면담하며 부산 엑스포 개최 지지를 호소했다. 장 부회장은 한 표의 지지라도 더 얻기 위해 하루에 한 국가를 방문하는 강도 높은 일정을 소화하며 유럽과 중앙아시아 표심을 잡는 데 주력했다. 장 부회장은 방문국 주요 인사들을 접견해 “인류가 당면한 다양한 도전 과제를 함께 고민하고 해결 방안을 논의하며 더 나은 미래를 제시하는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부산 엑스포를 준비하고 있다”고 엑스포 개최 취지를 설명한 뒤 전폭적인 지지를 당부했다. 또한 장 부회장은 부산 엑스포 개최 취지와 연계해 방문국과 SK 및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