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제주항공의 무안공항 폭발사고는 갈수록 의문점이 많다. 다른 항공 사고보다 왜 인명피해가 컸으며, 랜딩기어, 활주로 차단벽, 철새, 로컬라이저 안테나, 조종사 부주의, 역방향 착륙...수수께끼 같은 의문점들이 수도 없이 일어나고 있다. 사고 여객기인 제주항공 7C2216편은 착륙하는 과정에서 크게 세 차례 충격을 겪었다. 그렇다면 그 쟁점은? 지난 29일 오전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로 승객과 승무원 181명 중 179명이 숨지는 대참사가 벌어졌다. 피해 규모, 사고 원인, 공항 관리 등에 대해 다양한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지만 정부 조사가 아직 끝나지 않아 정확한 내용은 아직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나 갈수록 의문점을 증폭되고 있다. 항공 전문가들의 의견을 취합해 사고에 대한 쟁점과 이에 대해 제기되는 다양한 해석을 정리했다. 연합뉴스 등 국내 보도를 통해 무안공항 사고가 다른 항공사고에 비해 인명피해가 컸던 이유를 짚어본다. 콘크리트 구조물인 '로컬라이저 안테나' 사고원인 여부 사고가 났던 활주로 끝 외벽 앞에는 둑형태의 두꺼운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었고, 사고기는 이 구조물을 충돌한 후 바로 외벽에 부딪히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무안국제공항에서 탑승객 181명을 태운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중 활주로 외벽에 충돌한 뒤 화재가 발생해 179명이 숨지고 2명이 다치는 대형 참사는 국내 역대 항공 사고 중 가장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기 사고 중 역대 3번째 피해이나 국내 사고로는 가장 큰 피해 이번 제주항공 7C2216편 사고는 국내에서 발생한 역대 항공기 사고 가운데 가장 인명피해가 큰 참사로 남게 됐다. 사고 발생 장소를 해외까지 확대하면 이번 참사는 우리나라 항공기 사고 가운데 1983년 대한항공 격추(269명), 1997년 대한항공 괌 추락(225명 사망)에 이어 역대 3번째로 인명피해가 큰 사고다. 그러나 국내 사고로는 가장 피해가 크다. 특히 비행기가 비행장 콘크리트 차단벽에 부딪쳐 폭발하는 모습을 전국민이 TV를 통해 생생하게 지켜보면서 그 충격은 엄청나다. 한편 1983년 9월 1일에 발생한 대한항공 사고는 269명을 태우고 뉴욕 존 케네디 F. 국제공항을 출발한 뒤 앵커리지 공항을 경유하고 김포 국제공항으로 향하던 대한항공 007편이 조종사의 실수로 소련 영공을 침범하여 007편을 미국의 정찰기로 오인한 소련 공군이 미사일을 쏘아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보건복지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원장 신제수)과 제주항공(대표 김이배)은 9월 13일 신속한 장기 이송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13일부터 기증자의 장기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장기 이송 관계자의 항공기 탑승 안내 협조 ▲좌석 매진 시 취소 항공권에 대해 최우선 예약 협조 ▲공항 내 의료진 신속 수속 지원 및 에스코트 협조 ▲핫라인을 통한 간편 연락체계 구축 ▲기타 신속하고 안전한 장기이식을 위한 협력을 한다. 이번 협약으로 그동안 항공권이 없어 원거리 이송에 애로사항을 겪었던 현장 의료진들도 장기이식 수술의 골든타임을 지키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신제수 원장은 “특별히 생명나눔 주간에 귀한 협약을 하게 되어 기쁘고, 신속한 장기이송을 위해 제주항공의 적극적인 협력에 감사드린다”면서 “이번 협약을 통해 더욱 많은 새 생명을 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