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노혜정 기자 |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여부가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탄소 중립과 가장 가까운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몰리고 있다. 유통업계와 금융업계 모두 ‘전기차’ 운행에 뛰어들고 있다. 29일 이마트(대표 강희석)에 따르면, 보다 적극적인 ESG 경영 실천을 위해 ▲이마트 ▲트레이더스 ▲물류센터에서 사용하는 160여대의 업무용 차량을 모두 전기차로 전환한다. 이마트 업무용 차량은 각 점포에 배치돼 각종 물품 구매, 마케팅 판촉 등 점포 운영에 필요한 업무를 보조하는 용도로 사용될 예정이다. 이마트는 작년 11월 이마트 성수점 업무용 차량을 시범적으로 교체했고, 오는 30일부터 8월 말까지 순차적으로 160여대 차량을 모두 교체할 계획이다. 이처럼 이마트가 점포 업무용 차량을 전기차로 전환하는 것은 온실가스를 감축해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친환경 경영의 일환이다. 회사 측은 이번 전기차 교체를 통해 연간 1100톤의 탄소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고 매년 새로운 소나무 40만 그루를 심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세븐일레븐(대표 최경호)도 지난해 친환경 업무용 전기차 32대를 추가적으로 도입했다. 그 전부터 롯데렌탈과 협력
한국재난안전뉴스 박소민 기자 |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가 오는 2030년까지 업무용 차량 1391대를 전기·수소차로 전환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내연기관 차량 운행으로 발생하는 배기가스 등을 줄여 환경을 보호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LG유플러스의 전기·수소차 도입 확대는 환경부가 주관하는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사업(K-EV100)’에 동참하면서 시작됐다. K-EV100은 오는 2030년까지 기업이 보유한 업무용 차량을 무공해차로 전환하는 프로젝트로 10월 기준 LG전자, 삼성전자, 현대차 등 20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현재 업무에 활용하는 내연기관 차량 1700여대 중 특수차량 300여대를 제외한 모든 차량을 무공해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임원 차량과 일반 업무용 차량 총 1391대가 그 대상이다. 구체적인 전환 시기는 전기차 충전시설(인프라) 도입 시기를 고려해 오는 2023년부터 단계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후 2025년 30%, 2028년 70% 등 단계적으로 전환을 추진해 2030년 무공해차 전환을 완료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매년 무공해차 도입 실적을 공표함으로써,
한국재난안전뉴스 김세미 기자 | 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무공해차(전기.수소차) 133만대 보급을 목표로 한 가운데, 내년에는 총 2조7000억원을 투입해 전기차 20만7000대, 수소차 2만8000대를 각각 보급할 예정이다. 2일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을 위한 예산을 집중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2022년도 예산 및 기금안 총지출을 11조7900억원을 편성해 국회에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탄소중립(Carbon neutralization) 혹은 넷 제로(Net Zero)란 최근 친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우리 인류가 배출하는 탄소량과 제거하는 탄소량을 더했을 때 온실가스 순배출량이 '0'을 뜻한다.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따라 우리나라를 포함해 선진국, 개도국, 극빈국을 포함해 197개 회원국이 오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한다. 이번 예산안은 전년도 10조1665억원 대비 6102억원(6%) 증액된 10조7767억원, 기금안은 전년도 1조49억원 대비 64억원(0.8%) 증액된 1조133억원이다. 환경부 총 지출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내년기후대응기금안(2조5000억원)에 편성된 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