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용훈 기자 | 금호석유화학(대표 백종훈)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이하 ‘MSCI’) ESG 평가에서 지난해보다 한 단계 상승한 ‘BBB등급’을 획득했다고 18일 밝혔다. MSCI ESG 평가는 전 세계 8,500여 개의 기업과 68만개 이상의 주식 및 채권을 대상으로 하며, 이 중 화학 산업군에서는 금호석유화학을 비롯한 글로벌 주요 49개 기업이 평가되고 점수에 따라 ‘AAA’부터 ‘CCC’까지 등급이 부여된다. 올해 금호석유화학은 지난해의 ‘BB등급’보다 한 단계 상승한 ‘BBB등급’을 받았다. ‘환경’, ‘사회’, ‘거버넌스’ 세 부문에서 모두 전년보다 점수가 상승했다. 평가 대상 부문 중에 가장 중요도가 높은 ‘환경’ 부문의 경우 ▲탄소 배출 ▲유해물질 배출 및 폐기물 ▲물 스트레스 ▲클린 테크 기회 등 모든 항목에서 전년 대비 실적이 상승하여 산업 평균을 상회했다. 또한 회사가 지속가능경영 및 지배구조 개선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옴에 따라 ‘사회’ 및 ‘거버넌스’ 부문에서도 전년 대비 점수가 상승했다. 특히 거버넌스 부문에서는 산업 평균을 크게 웃도는 점수를 획득했는데, 회사는 지난 2021년 박찬구 회장의 대표이사 사임과 백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지구온도가 계속 상승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국제정부가 정한 인간이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 있는 한계선인 온도 상승 '1.5C'에 당초 예측보다 더욱 빠르게 도달할 것 같다는 새로운 예측이 나타났다. 그만큼 '지구 혼란' 위험은 더욱 커진 것이다. 12일 영국 일간 '더가다언'(The Guardian) 등에 따르면, 현재 지구 평균 기온은 2021년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1.1C 높아졌다. 영국 기상청(the UK Met Office) 소속 과학자들은 향후 5년의 기간 동안 한계를 넘을 확률이 현재 50%이며, 2015년 가능성이 전혀 없을 것이라는 예측과 달이 2020년에는 20%, 2021년에는 40%로 그 확률이 급증했다. 또한, 2026년은 엘니뇨로 인해 기온이 과도하게 올라간 2016년보다 더 더울것 이라는 확률이 93%으로 예측되며 향후 5년간의 평균 기온이 지난 5년간 기후보다 상승될 것으로 예상해 기후위기가 심화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페테리 탈라스(Petteri Taalas) 세계 기상 기구 교수는 새로운 보고서를 통해 "1.5C는 임의의 통게치가 아닌 기후 영향이 사람들과 실제로 지구 전체에 점점 해로운 영향을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지난해 7대 세계 자동차 시장은 전년 대비 4.4% 확대됐으나 하반기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재확산과 반도체, 부품 부족 등으로 신차공급이 수요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자동차산업협회(회장 정만기, 이하 KAMA )가 세계 자동차 7대 시장 (미국, 유럽, 중국, 인도,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정책 동향을 조사, 13일 발표한 '2021년 해외 주요 자동차 시장 및 정책 동향'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대비 30.6% 확대 되었으나, 하반기엔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재확산과 반도체, 부품 부족 등으로 신차공급이 수요에 못 미치면서 전년동기대비 13.6% 축소됐다. 시장별로는 인도(26.7%↑), 중국(6.5%↑), 멕시코(6.3%↑), 러시아(4.3%↑), 미국(3.1%↑), 브라질(1.2%↑)은 확대되었으나 유럽은 위축(1.5%↓)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러한 확대는 전년대비 기저 효과에 주로 기인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는 아직 코로나 이전, 2019년도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 시장은 2019년도 수준(296만대)을 상회하는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