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미얀마서 7.7 강진에 144명이 사망했다. 태국에서는 공사중 30층건물아아 붕괴했다. 이 사고로 양국에서 수백명이 죽거나 매몰되었으며, 수천명이 부상했다. 인명피해가 재산 피해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미얀마 중부 내륙에서 28일 낮 12시 50분께(현지시간)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고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와 미국 지질조사국(USGS)이 밝혔다. 연합뉴스와 주요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얀마 중부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덮쳐 미얀마는 물론 인접 태국 등지에서 건물 여러 채가 무너져 다수가 사망하거나 매몰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진앙은 인구 120만명의 미얀마 제2 도시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 각각 떨어진 지점이다. 진원 깊이는 10㎞로 관측됐다. 이어 12분 뒤 규모 6.4의 여진이 같은 지역에서 일어났다. 이들 지진으로 미얀마 곳곳에서 다리와 건물 등이 붕괴, 다수 인원이 매몰되거나 다쳤다. 미얀마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이날 TV 연설을 통해 "지진으로 144명이 사망하고 732명이 부상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과 중국중앙TV(CCT
한국재난안전뉴스 노혜정 기자 | 포스코건설(대표 한성희)이 약 15%에 달하는 외국인 근로자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5개국어로 된 소통앱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현재 국내 건설현장에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근로자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언어소통의 어려움으로 정확한 정보전달은 물론 안전교육, 직무역량 등에서도 애로를 겪어왔다. 이에 따라 포스코건설은 ▲회사 기본안전수칙 ▲안전관리 표현 ▲일상표현 등 약 250개 문장을 중국·베트남·미얀마·캄보디아·태국 등 5개 국어를 표현한 외국어 소통 전용 앱을 개발해 자사 직원들에게 배포했다. 이 표현들은 직원들이 쉽고 재밌게 학습할 수 있도록 글자·음성·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학습 콘텐츠로 구성했다. 특히, 이 외국어 소통 전용앱은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들과 긴급한 대화가 필요할 때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번역기능을 넣었다. 위급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고 정확한 의사를 전달할 수 있게 됐다. 포스코 건설은 그동안 외국인 근로자들을 위해 현장에 5개 국어로 된 안전표지를 부착하고, 8개 국어로 된 안전교육 동영상을 제작해 외국인 근로자 안전교육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안전사고 방지 요령을 그림으로 쉽게 이해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