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용훈 기자 | GS건설(대표 허창수, 임병용)이 건설사 최초로 면접 복장을 자율화하고, 면접장에도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유연한 인재 영입을 위해 채용의 변화를 선도한다고 12일 밝혔다. 건설회사 하면 가장 먼저 ‘현장’을 떠올릴 정도로 힘든 업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요즘 대형건설사들은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지속가능한 사업영역을 구축하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건설업도 디지털전환(DX)를 진행하면서 유연한 사고를 가진 인재들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GS건설은 미래 GS건설을 이끌어갈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갖춘 인재들을 뽑기 위해 채용전형을 대폭 개편했다고 12일 밝혔다. 먼저 ‘면접’하면 떠오르는 전통적인 면접 복장인 정장 대신 “편하게 입고, FUN하게”라는 채용 콘셉트 아래, 면접 복장 자율화를 도입한다. 또한, 기존의 격식 있고 딱딱한 면접 분위기에서 벗어나 면접 자리 배치를 기존보다 더 가까운 거리로 재구성해, 면접관과 지원자가 태블릿 PC를 활용해 더 친밀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지원자들의 잠재력을 보다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지원자 역시 부담을 덜고 편안하게 자신의 강점을 어필할 수
한국재난안전뉴스 노혜정 기자 |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이후에도 작업 현장 산업 재해는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최근 벌어졌던 두성산업 세척제 유해물질 급성 중독 재해를 비롯해, 같은 세척제로 인해 김해에 위치한 ‘대흥알앤티’에서도 작업자 13명이 급성 중독 증상을 보여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사항에 대해 점검에 들어갔다. 7일 산업계에 따르면, 지난 1월 27일 처벌법 시행 이후 기업들이 산업 재해에 대해 촉각이 곤두선 가운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에도 시선이 쏠리고 있다. 물류센터나 건설현장의 안전을 위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개인 보호 장비나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이 바로 그것이다. 많은 기업들이 4차 산업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미래 기술을 활용해 안전한 산업현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스마트 공장 구축·IoT(사물인터넷) 활용 근로자 개인 보호 장비 구축·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디지털 혁신(Digital transformation)을 구축하고 있다. 디지털 혁신은 작업 현장에서 안전을 관리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다. 기술을 사용해 ▲비즈니스 프로세스 ▲회사 문화 ▲고객 경험을 개선한다. 이를 안전으로 확장하면 디지털 혁신은 또한
한국재난안전뉴스 노혜정 기자 | 신한은행(은행장 진옥동)은 인공지능(AI) 기반 음성 합성·자연어 이해 기술을 보유한 자이냅스와 목소리 생성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금융 서비스 제공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자이냅스는 챗봇과 음성봇에서 다양한 언어 데이터로 입력된 문장을 목소리로 표현하는 AI 기술과 자연스러운 대화를 유도하는 자연어 이해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신한금융그룹의 통합 AI 컨택센터를 고도화한다. 신한은행 AI 연구센터인 AICC와 금융 데이터 관련 신사업을 발굴하는 등 긴밀한 업무 협력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신한은행은 AI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혁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향후 고객 소통을 위한 채널에 AI 기술을 결합해 미래 금융 서비스의 청사진을 그려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고객 상담을 담당하는 챗봇·음성봇에서 AI 기반의 상담을 진행해 고객들의 금융 서비스 만족도를 더욱 높여나갈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신한금융그룹의 비전인 ‘더 쉽고, 편안한, 더 새로운 금융’에 발맞춰 AI와 고객이 소통하는 채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