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지난 1월 중대재해법이 시행되고 3개월이 지났지만 여전시 사고와 사망자는 발생하고 있다. 4월 18일 평택시 소재의 매일유업 공장 끼임사고가 발생한 지 10일도 안 돼서 대한항공 자회사인 한국공항에서 끼임사고가 발생했다. 26일 오후 5시 경 한국공항주식회사 소속 근로자 A씨가 인천공항 내 한국공항 정비고에서 항공기를 견인하는 ‘토잉카’를 점검하다가 머리가 바퀴와 차체 사이에 끼여 사망했다. 토잉카는 길이가 10m에 달하는 대형차량으로 활주로 등에서 비행기를 이동시킬 때 쓰인다. 사고 당시 근로자 A씨는 토잉카 뒷바퀴를 들어올리고 그 아래에 머리를 넣어 기름이 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었다. 이번 사고는 다른 근로자가 A씨의 작업위치를 인지하기 못하고 차량 시동을 꺼 뒷바퀴가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면서 변을 당했다. 인천국제공항 소방대가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해 인하대 병원으로 A씨를 이송했으나 과다출혈로 끝내 숨졌다. 한국공항은 상시근로자 50인 이상으로 중대재해법 적용을 받으며 고용노동부는 한국공항 사업장에 즉시 작업중지 조치를 내리고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 한국공항 노조는 “한 개조만 투입됐어야 하는 일에 두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시시때때로 바뀌는 작업현장에서 현장 근로자가 즉흥적으로 행동하고 계획을 바꾸기도 한다. 특정 업무는 같이 모여 새로운 해결책을 마련해 협력하기도 하지만, 안전을 고려하지 않고 독단적으로 행동하는 경우에 근로자는 물론, 최고경영자까지 영향을 미치는 비극을 초래할 수 있다. 18일 미국 안전전문매체인 세이프티뉴스알러트(SafetyNewsAlert) 등에 따르면, 안전계획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은 채, 현장에서 독단적인 의사결정에 의해 이뤄진 대응책은 더 큰 화를 불러오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미국의 한 광산에서는 위험한 구멍을 발견한 뒤에 이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임시방편으로 널빤지를 사용한 것이 위험을 더 증폭시켰다고 한다. 당시 현장 근로자는 경영진에게 안전하지 않다고 호소했지만, 여러 사정을 이유로 임시 상황을 유지했고, 급기야 현장에 익숙치 않은 근로자 한 명이 발을 잘못 딛는 바람에 약 7m로 떨어져 사망하는 산업재해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사고를 조사한 조사관들은 광산 운영자의 임시대처는 근로자에게 안전을 제공하지 않았으며, 낙상방지 장비를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지 않았음을 밝혀냈다. 또한,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작업장에서 화학물질로 인한 독성물질 중독 이슈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캐나다의 한 연구를 통해 네일아트샵 근로자는 다양한 유해 화학 물질에 노출 그 수치가 가정에서보다 30배, 전자폐기물 처리 시설에 비해 10배 높게 기록됐다고 밝혀졌다. 이에 따라 이같은 근로직종에서의 보다 안전한 근로공간 마련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런 문제는 대규모의 석유정제, 화학, 건설 등의 현장에서만 화학물질 노출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네일아트샵 같은 곳에서의 화학물질 노출도 무시할 수가 없다. 특히, 미용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지금, 손톱케어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 상가 등의 건물에서 네일아트 샵을 많이 목격할 수 있는데 대학교에서도 이를 가르치고 자격증까지 딸 수 있도록 돕고 있는 상황이다. 캐나다의 한 연구를 통해 네일아트샵 근로자는 다양한 유해 화학 물질에 노출 그 수치가 가정에서보다 30배, 전자폐기물 처리 시설에 비해 10배 높게 기록됐다고 밝혀져 해당 직업에 대한 위험도가 높아졌다. 토론토 대학교의 달라 라나 공중 보건 대학(the University of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