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대지진을 겪은 모로코 국민들의 분노하고 있다. 생존 확률이 높은 '골든타임' 72시간이 지난 12일 "국가가 우리를 버렸다"는 절규가 커지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모로코 정부가 생존자 구조 및 피해 회복 지연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아틀라스산맥에 있는 작은 마을 타루이스테에는 11일(현지시간)에야 구조대가 도착했다. 지난 8일 오후 11시 11분 지진이 발생한 지 사흘만이다 모로코 당국은 실종자 수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구조 작업이 지연될수록 인명피해가 더 커질 것이 우려되는데도 뚜렷한 이유 없이 국제사회의 구조대 파견 제안도 사실상 거부하고 있다. 정부의 방치 속에 건물 잔해를 맨손으로 직접 파헤치는 일이 반복되고 있지만, 기적을 실현하기엔 역부족이다. 모로코 내무부가 공식 발표한 사망자 수는 2862명으로 늘었다. 부상자도 2562명에 달한다. 지진 피해가 컸던 두아르트니르 마을에서는 참상이 계속 이어졌다. 한 주민은 붕괴된 건물 안에 9세 딸이 갇혀 있다면서 맨손으로 벽돌, 나무 등을 60시간 이상 파헤쳤다. 뉴욕타임스는 마을 주민들이 "정부가 우리 존재를 모르는 것 같다"며
한국재난안전뉴스 최종걸 편집인 | 여야가 23일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국정조사’에 합의했다. 24일 국회 본회의에서 계획서 승인과 국조특위 구성을 마치고 45일간 조사하기로 했다.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은 당초 경찰 특별수사본부의 수사 미진 시 검토하겠다던 방침을 전격 철회한 결과이다. 국민 70%가 국정조사를 찬성하자 입장을 번복했지만 이제라도 참사 유족들의 한을 풀어주는데 진정성을 보여주기 바란다. 또 한 가지 6년전 진도 맹골수로를 항해하던 세월호 침몰로 304명의 목숨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 국정조사의 전철을 밟지 않기를 바란다. 성역없는 국정조사의 반면교사이기 때문이다. 국정조사를 통해 참사 원인과 예방책을 입법화 해야 육상과 해상에서 반복되는 참사를 막을 수 있다. 이번 국정조사가 살펴보는 조사기관엔 대통령실 국정상황실·국가안보실 위기관리센터·국무총리실이 포함됐다. 흔히 말하는 ‘골든타임’을 놓친 국가 심장 기관들이다. 이태원 참사 당일 적정한 구호조치가 이뤄졌다면 사망하지 않았을 ‘골든타임’이 사고 발생 45분 후인 밤 11시였다고 한다. 하지만 11시1분에 인지한 대통령부터 행정안전부 장관·서울시장·경찰청장·서울경찰청장 모두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각종 치명적인 안전 사고에서도 후속 조치가 재빨리 이뤄지면 목숨을 잃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다. 바로 빠른 구급 서비스를 통해 의료 서비스가 실행되면 생명을 유지하는데, 그 중요한 역할 중 하나가 구급차다. 구급차가 급하게 사이렌을 울리며 달려올 때 당신의 차량이 교차로 한가운데 서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럴 때는 그냥 교차로에 멈춰 서는 것이 아닌 갓길로 운전해 지나갈 자리를 내줘야 한다. 흔히 인터넷 상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도로 위 모세의 기적 현상은 ‘기적’이 아닌 우리 사회 질서를 위해 반드시 지켜야되는 ‘규칙’이며 서로 양보하며 비상 차량을 존중하고 공간을 만드는 것은 응급 구조대원, 운전자,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방법이다. 하지만, 지난 2021년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2016~2020년 긴급자동차 ‘양보의무 위발’ 적발건이 줄어드는 듯하다가 다시 늘어나기 시작했고 소방서 관계자는 “출동할 때마다 길가의 차량들이 양보하지 않는 일은 드물지 않게 벌어지고 있다며 놀랍지도 않다”고 말했다. 산불이 계속 발생하고, 긴급출동이 많은 이 시기에 우리는 구급차를 위한, 부상자를 위한 신속한 길 터주기가 필요하다. 아래는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