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집중호우로 경남서 사망 3명, 심정지 2명, 실종 3명이 발생했다.산청군은 사상 초유로 전 군민 대피령이 내려졌다. 산청은 19일 하루 283㎜의 폭우가 내렸고, 나흘 동안 632㎜ 물폭탄이 쏟아졌다. 최고는 산청군 사천면 740mm 내렸다. 이밖에 경남 지역은 수마로 초토화되었다 연합뉴스 집계에 따르면, 경남 산청군에 19일 하루 283㎜의 비가 쏟아지는 등 나흘 동안 산청군 전역에 632㎜ 물폭탄이 쏟아졌다. 경남도에 따르면 19일 0시부터 오후 1시 사이 산청군에 283㎜의 집중호우가 내렸다. 16일부터 4일간 산청군 시천면에 누적 강수량 740㎜를 기록하는 등 산청군 일대에 632㎜의 극한 호우가 퍼부었다. 이어 함안군 532.5㎜, 합천군 502㎜, 하동군 349㎜, 창녕군 350㎜ 등 경남 18개 시군에 4일간 평균 255㎜가 넘는 비가 쏟아졌다. 이날 오후 2시 30분 기준, 합천군, 산청군 등 경남 14개 시군에 호우경보, 나머지 4개 시군에 호우 주의보가 발령된 상태로 지역별로 폭우가 이어지고 있다. 도는 이날 정오께 비상단계 근무 기준을 비상 2단계(경계)에서 비상 3단계(심각)로 격상해 총력 대응에 들어갔다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경남 산청을 비롯한 29곳의 산불, 왜 쉽게 잡지 못했나. 건조한 날씨에 강풍까지 겹쳤으니 산불을 막는데 제한적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매년 이맘때면 건조한 날씨에 강풍이 불어 산불이 늘 예상돼왔다. 그렇다면 이에 대비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산림청은 23일 "날씨가 따뜻해져 외부 활동이 크게 늘면서 22일 하루에만 전국에서 29건의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고 말했다. 바람이 거센 산청과 의성에서는 '비화(飛火)' 현상까지 나타나 피해가 커졌다고 밝혔다. 비화 현상은 불씨가 바람을 타고 다른 곳으로 날아가 옮겨붙는 것을 말한다. 바람이 불면 산불 확산 속도는 26배 이상 빨라진다고 한다. 이같은 기후 현상에 진화반이 속수무책이라는 것이다. 일부에선 제때 산불을 끄는 대형헬기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가 아니다. 산불 진화에 완벽한 설비를 갖추기란 어렵다. 다시 말해 완벽한 설비를 갖췄다고 하더라도 대형 산불을 막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결국 과학적 진화와 예방대책, 나아가 기강의 문제가 거론된다. 현재 나라는 탄핵 정국이다. 이런 때 기강이 해이되지 않았나를 점검할 필요가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