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치솟는 물가 잡는다고 금리만이 대책인가

한국재난안전뉴스 최종걸 편집인 | 14일 금융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심리적 지지선이라고 기대했던 종합주가지수 2500선이 맥없이 무너졌고, 원화에 대한 미국 달러환율도 전날에 이어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1300원대 코앞까지 근접한 1290원대로 진입했다. 어제 기준이라면 오늘 1300원대 돌파도 시간문제다.

 

전날 미국의 소비자물가가 41년 만에 최고치인 8.6%까지 폭등했다는 소식에 미국 금융시장이 털썩 주저앉졌기 때문이다. 14-15일 예정된 미국 중앙은행격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전례 없는 금리 인상을 통해 치솟는 물가를 잡겠다는 신호를 보낸 여파이다. 연준이 14~15일(현지시간) 회의에서 단번에 0.75%포인트 인상하는 이른바 ‘자이언트스텝’을 취할 수도 있다고 시사했다. 물가를 잡겠다고 금리를 전격 올리는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금리 인상은 역으로 금융시장에 주가는 떨어뜨리고 환율은 끌어올리는 후폭풍을 몰고 오고 있다.

 

곡물과 원자재 수출국간 전쟁으로 시장바구니와 식당의 밥값이 하루가 다르게 오르자 이를 잡겠다고 금리를 인상하는 바람에 영끌까지 해서 투자했던 주식 값은 원금은 커녕 손실을 규모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금리 인상은 급등한 전월세용 대출이자 상환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처럼 물가는 먹고 마시는 의식주뿐만아니라 금융시장까지 충격파를 주고 있다.

 

물가를 안정시키는 유일한 수단이 금리 인상을 통해 수요를 줄이는 수단밖에 없어 보인다. 수입에 의존해야하는 처지에서 해외발 공급망이 개선되지 않는 한 우리 자체적인 수급안정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공급망 차질여파와 원자재값 급등은 금리 인상 압박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물가는 오르고 경기는 침체국면이 고착화되는 스테크플레이션과 농산물발 물가 인상인 애그플레이션이 우리경제에 복합불황을 야기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물가 때문이다.

 

미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국제은행간 결제망을 차단하는 등 금융망 옥죄기에 나섰지만 가스, 원유, 밀 등 자원부국인 러시아 제재에는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한 체 물가 폭등이라는 역습만을 당하고 있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가 41년 만에 급등하는 바람에 금리를 자이언트스탭이라는 초강수를 둘 태세이기 때문이다. 분석가들은 독일 등 유럽에 가스와 원유 주 공급원인 러시아가 여름을 지나 겨울을 대비하고 있다는 전망도 하고 있다. 지금처럼 유럽이 러시아산 가스와 곡물을 금지할 경우 혹독한 겨울을 날 수밖에 없지만 러시아는 중국과 인도 등 대체시장을 확보하고 있어 전쟁을 장기전으로 이어갈 수 있다는 전망이다.

 

결국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할 경우 에너지와 곡물 공급망을 해소할 대안부재로 물가 급등세를 눈뜨고 지켜봐야만 할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를 잡을 유일한 수단으로 금리카드외에 다른 방안이 없다는 최악의 시나리오이다.

 

미국이 얼마나 급했으면 대중극 무역보복 조치로 중국에서 수입하는 물품에 대한 고율의 관세를 완화하려는 움직임마저 보이고 있다. 러시아에 취한 금융제재에도 물가는 급등하자 중국에 취한 관세보복도 울며 겨자 먹기로 슬그머니 철회하려는 상황이다.

 

문제는 우리이다. 에너지와 곡물 등을 대외 의존해야 지탱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넋 놓고 지켜봐야하기 때문이다. 하늘만 바라봐야 하는 천수답 수급망에 노출된 상황이다. 게다가 미국이라는 큰 손이 자기 살겠다고 금리 인상을 전기충격법처럼 취하고 있어 우리도 동반 금리 인상을 해야 하는 엎친데 덮친 복합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물가 불안으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간선거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어 금리 조치로 대응할 경우 자칫 국내 금융시장에 또다른 대외변수로 부상할 수 있다. 금융당국은 대책이 있는지 궁금하다. 흔히 이야기하는 선제적 대책말이다.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