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용훈 기자 | 국내 대표적인 물류 혁신의 상징인 쿠팡은 한때 산업재해로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하지만, 쿠팡은 이제 전사적 안전경영 전환을 선언하며 본격적인 변화에 나섰다. 김범석 의장을 중심으로 한 최고경영진은 안전을 기업의 핵심가치로 재정의했고, 국제인증 기반의 시스템과 현장 중심의 안전문화, 윤리·인권경영에 올인하고 있다. 이제 안전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동시에 추구하는 ‘지속가능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 중인 쿠팡의 안전 보건 경영 활동의 현주소를 집중 점검해봤다. 산업재해 비판 딛고 ‘안전 최우선’ 경영 전환 中 쿠팡은 불과 몇 해 전까지만 해도 물류센터 산업재해와 노동자 과로사 문제로 곤욕을 치렀다. 물류센터와 배송 현장에서 노동자가 안타깝게 사망하는 등 문제가 불거졌고, 폭염 아래 에어컨 없는 창고에서 일하던 쿠팡 노동자들이 열악한 작업환경에 항의해 파업에 나서는 등 사회적 비판이 거세지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쿠팡 최고경영진은 안전불감증 타파를 최우선 과제로 내걸었다. 박대준 대표와 당시 각자대표였던 강한승 전 대표는 “더 이상 안전 때문에 소중한 생명을 잃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대내외에 밝히며 전사적인
한국재난안전뉴스 이용훈 기자 | SK텔레콤 유심정보 유출 등 보안사고가 나면서 금융안전 이슈가 업계의 주요 어젠다로 떠올랐따. 특히, 고객정보 보호와 예금자 안전이 최우선인 금융계에서는 내부통제 강화는 물론, IT센터 안전이 핫이슈이다. 특히 새 정부의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만큼, 전방위적인 안전 경영은 중요할 수밖에 없다. 우리 대표 은행 중 하나인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의 안전 경영 활동을 짚어봤다. 금융권 보안·안전 이슈가 핵심 최근 통신사 유심정보 유출 등으로 금융권의 보안은 더욱 중요해졌다. 이런 위기 상황에서 KB국민은행은 고객 신뢰 회복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선제적 안전대책을 추진했다. 실제 KB국민은행은 올해 홍콩 ELS 손실 등 금융사고로 신뢰도에 타격을 입자 곧바로 ‘고객 신뢰 회복과 소비자 보호 강화’ 방침을 발표했다. 이환주 신임 행장은 취임 첫날부터 “금융의 기본은 신뢰”라며 고객과 사회의 신뢰를 얻기 위해 내부통제와 윤리경영을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고객정보·자산 안전도 강화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최근 증가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해 IT인프라 보안 체계를 강화했다. 특히 김포 IT센터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지난 1분기 50인 이상 사업장에서 산업재해로 인해 숨진 사망자 규모(71명)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도 불구, 줄지 않았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과연 사측인 경영진이 예방 노력을 제대로 안 해서 나온 결과인지, 근로자의 부주의로 인한 문제인지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단순히 3개월 간 나온 수치를 놓고, 그 원인 및 책임을 규명하는 것 자체가 섣부른 행동일 수도 있지만, 문제는 산업재해가 법을 강화한다고만 해서 줄지 않는 것이다. 미국 산업보건당국에서는 이미 1990년대부터 '하인리치 법칙'을 근거로, 재해예방을 위한 조직의 구조적인 노력에도 불구, 근로자 개개인의 부주의로 인한 산업재해 사고가 불가피하게 나온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인해 경영자의 책임 의무에 좀더 방점이 찍혀있지만, 결국 근로자 개인의 안전 노력 또한 재해예방을 위해 빠뜨릴 수 없는 부분인 만큼, 이 부분에 대한 주의 환기도 같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일 산업계에 따르면, 지난 17일 고용노동부가 내놓은 '최근 산재 사망사고 동향' 자료에 따르면 50인 이상 기업 기준 올해 1분기 산재 사망자 수는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