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용훈 기자 | 최근 반복된 식품업계 중대재해 사고는 안전을 기업 경쟁력의 중심에 다시 세웠다. 특히 SPC 사고 이후, 작업자 안전과 조직 문화에 대한 국민적 요구는 그 어느 때보다 높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서울우유는 유가공 업계 대표 주자로서 생산현장의 안전을 강화하고, 친환경·사회적 책임을 아우르는 ESG 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안전은 문화에서 나오고, 그 문화는 리더에서 나온다고 한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의 리더인 문진섭 조합장을 중심으로 안전과 품질, 지속가능성을 핵심 가치로 삼은 변화는 협동조합형 기업의 안정성과 투명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더욱 뚜렷한 성과를 드러내고 있는 가운데 서울우유의 안전 보건 경영 활동을 짚어봤다. 중대재해 예방... 현장 안전문화에서 나온다. 국내 대형 식품기업 SPC삼립에서는 최근 3년간 3명의 사망자를 낸 연이은 중대재해로 ‘안전불감증’ 지적을 받았고, 이 사건을 계기로 업계 전체가 작업자 안전 확보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 대표 유제품 생산 협동조합인 서울우유은 사업장 안전과 ESG 경영을 아우르는 선제적 안전관리 강화로 주목받고 있다. 문진섭 조합장을 비롯한 최고경영진은 "안전
한국재난안전뉴스 장서희 기자 | 금호석유화학그룹(대표 백종훈)이 지속가능한 경영 체계를 수립하면서 환경과 안전 부문 역량을 다방면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금호석유화학과 금호피앤비화학, 금호미쓰이화학, 금호폴리켐, 금호티앤엘, 금호리조트 등 주요 계열사들이 함께 그룹 차원의 ESG 협의체를 구성하고 각 사의 안전 및 환경경영 현황을 공유하며 공동의 ESG 비전 달성을 위한 액션 플랜을 구체화하고 있다. 장기적인 계획 기반 환경경영 실천 금호석유화학은 ‘Let’s Act, Advance, and Accelerate for ESG!’라는 비전 아래 환경안전 관리 체계를고도화하는 데 방점을 찍고 관련 중점 과제를 이행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우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작년 3월 탄소중립 성장안을 마련하고 이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이행 로드맵’을 정립한 것이 대표적이다. 로드맵에 따르면 금호석유화학은 2035년 탄소중립 성장을 시작해 2050년에는 Scope 1,2 탄소 배출량의 BAU 대비 100%를 감축해 탄소 중립을 실현할 계획으로 올해부터 미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관련 지표를 지속적으로 관리 중이다. 금호피앤비화학은 2023년 상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KT(대표 구현모·박종욱)가 삼성전자 DS(반도체)부문 온양 사업장에 환경안전 강화를 위해 드론시스템을 구축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구축된 드론시스템은 기업전용 LTE 무선 보안 네트워크에 기반을 두고 운영되며, 드론에 부착된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등을 정보유출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드론시스템은 드론 무인 운영 스테이션을 통해 운영되며, ▲고속충전 ▲다수 드론과 스테이션 동시 제어 ▲자동순환 비행 제어 시스템 ▲스테이션 간 원격 드론 제어 및 정보 송수신 기능 등이 제공된다. 특히, ▲비행 제어 자동화 기술 ▲화재감지기 ▲시설물 온도감지기 등과 연동할 수 있어 사업장 내 세밀한 환경안전 감시가 가능하다. KT는 삼성전자와 기업전용 LTE에 기반을 둔 사물인터넷 신기술을 활용해 제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DX)을 추진할 수 있도록 워킹 그룹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오혁상 삼성전자 온양사업장 환경안전팀장 상무는 “KT드론을 통해 상공에서 시설물 관리, 야간순찰, 대기가스분석 업무를 우선 수행할 것이다”라며 “자체 안전 역량 강화를 위해 지속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정준 KT 엔터프라이즈부문 기업고객본부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