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21일 서울 관악구 봉천동 한 아파트에서 방화로 보이는 불이 나 1명이 죽고, 6명이 부상당했다. 방화 용의자는 과거 층간 소음으로 이웃과 갈등을 빚은 것으로 알려졌다. 쌍방 폭행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망자 1명은 방화용의자인 것으로 판명됐다. 방화 용의자는 이날 화재로 4층에서 숨진 채 발견된 60대 남성과 동일 인물인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 관계자는 “4층 복도에서 발견된 불에 탄 변사체의 지문을 확인해 보니 방화 용의자와 동일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 남성은 ‘미안하다, 어머니를 잘 부탁한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긴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21일 오전 서울 관악구 봉천동 21층 규모 아파트에서 불이 났다. 이 사고로 주민 1명이 숨지고 6명을 부상을 당해 병원으로 이송됐다. 관악소방서는 이 불로 3명이 추락하고 다른 3명은 연기흡입, 호흡 곤란 등 경상을 입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관악경찰서는 유력한 방화 용의자인 60대 남성 A(61)씨를 지목하고, 그는 인근 주민들과도 갈등을 겪어왔던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지난해 말까지 화재가 발생한 아파트 3층에 살며 윗집 주민과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아파트 아래층이나 옆층에서 불이 났을 때, 대피해야 하는 것이 안전햔갸. 그 자리에 머물러 있어야 안전한가. 집안에 이미 유독 개스와 함께 검은 연기가 들어차고 화마가 덮쳐올 때는 누구나 당황하게 된다..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절망적인 상황. 어떻게 대처해야 생명을 건질 수 있을까. 이에 대한 해답을 부산소방재난본부가 내놨다. 부산소방재난본부는 18일 오후 부산 남구의 한 철거 예정인 4층짜리 빌라에서 화재 현장을 구현한 화재 상황을 실험했다. 최근 서울 도봉구를 비롯 대구, 경기, 충청 등 인명피해를 일으킨 아파트 화재가 주로 검은 연기를 피하지 못해 일어난 것에대한 구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이같이 실험에 나선것이다. . 소방대원들은 화재가 발생해 대피할 때 현관문을 닫고 나간 경우와 열어두고 나간 경우를 가정했다. 현관문을 열어둔 경우 빌라 1층 안방에 불을 지핀 지 1분도 채 지나지 않아 화재 현장에서 검은 연기가 현관문 밖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검붉은 화염은 현관문 밖으로 나와 빌라 복도를 새까맣게 태웠다. 실제 1층에서 발생한 연기는 1분 20초 만에 4층 계단까지 올라왔다. 점화한 지 4분 50초가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