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재난 위험, 빅데이터로 미리 보고 대응한다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행정안전부는 새로운 유형의 재난을 사전에 발굴하기 위해 지난 달에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 '신종재난 위험요소 발굴센터'를 설치한다. 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 발굴센터는 이번달부터 본격적으로 신종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나갈 계획으로, 이는 올해초 마련된 '범정부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추진전략 중 ‘신종 위험 발굴과 예측을 위한 범정부 관리체계 구축 방안’의 후속 조치로 추진하게 되었다. 신종 재난은 일반적으로 새롭게 발생한 대규모 재난 사건을 가리키는 용어로, 대부분의 경우, 새로운 유형의 병원체나 천연재해, 기술적 사고 등으로 인해 대규모의 인명 피해가 예상될 수 있는 사건을 의미합한다. 최근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이를 신종 재난으로 지칭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외에도 지진, 홍수, 태풍,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나 핵사고, 폭발사고, 선박난파 등의 기술적 사고도 다변화에 따른 신종 재난으로 분류될 수 있다. 발굴센터는 국민신고, 언론, 사회관계망서비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수집된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이전에 발생하지 않았던 일상 속 새로운 안전 위험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