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폐배터리를 안전하게 운반하고 보관할 수 있는 운반․보관 기기(키트)에 대한 현장 시연회를 5일 오후 대전 유성구 소재 ㈜스탠더드시험연구소에서 가졌다. 환경부와 가전제품 재활용공제조합(이순환거버넌스)은 전기 및 전자제품에서 해체되거나 분리된 폐배터리의 운반 및 보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화재 감지 기능을 탑재한 전용 기기(키트) 개발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기기는 초기 화재 발생 시 가연성 기체를 감지하여 대형화재를 사전에 방지하고, 열폭주 상황에서도 압축공기포 소화약제를 자동으로 분사하여 화재 진화에 큰 효과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무선청소기 기준 약 400개에서 분리된 폐배터리를 보관할 수 있는 용량(약 800ℓ)을 갖추고 있으며, 폐전자제품 운송차량에 탑재가 가능한 형태로 개발된다. 이날 시연회에서는 폐배터리를 보관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두 가지 화재 유형, 즉 화재 초기 가연성 기체 발생, 본격적인 화재 후 열폭주 상황을 재연하고 기기의 화재 방지 및 소화 과정을 점검했다. 유승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이번에 개발된 폐배터리 운반․보관 기기의 보급을 확대
한국재난안전뉴스 장수빈 기자 | 대우조선해양(대표 박두선)은 최근 친환경 액화천연가스(LNG) 처리 기술 및 스마트십 솔루션에 대한 시연회를 옥포조선소 내 에너지시스템 실험센터에서 성황리에 마쳤다고 23일 밝혔다. 이 행사에는 그리스 마란가스·일본 MOL·노르웨이 프론트라인·독일 하팍로이드 등 주요 해외 선주들을 비롯해 프랑스 BV·영국 LR·일본 NK 등 글로벌 메이저 선급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해 대우조선해양의 수준 높은 기술력을 체험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번 시연회에서 세 가지 최신 기술을 공개했다. 먼저 회사가 자체 개발한 LNG 재액화시스템인 ‘NRS(Nitrogen Refrigerant System)'의 성능을 선보였다. NRS는 LNG 운반선 운영 효율을 높이는 핵심 장비다. 질소를 냉매로 활용해 운항 중에 자연 증발하는 천연가스를모아 다시 액체로 바꿔 저장하는 최신 기술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이 기술을 현재 건조하고 있는 2척의 초대형 LNG-FSU(Floating Storage Unit)에 이미 적용하고 있다. 이는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친환경 기술이 실제 해양플랜트에 적용된 최초 사례이다. 뿐만 아니라 압축기와 팽창기 등 주요 기자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