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올해 1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안전사고에 대한 관심이 커진 가운데, 화학물질과 전염병으로 인한 직업성 질병이 산업재해의 또 다른 위험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건설업은 물론, 다른 산업에 종사하는 젊은 근로자들이 직장에서 각종 발암 물질 노출의 위험 증가에 점점 증가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3일 세이프티플러스헬스(Safety+Health)와 산업계에 따르면, 캐나다의 한 연구팀은 발암물질에 대한 잠재적 노출과 관련된 젊은 근로자들을 조사한 결과 건설업, 농업 기타 옥외 직업의 근로자들이 여러가지 발암물질에 노출됐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전반적으로, 25세 이하의 근로자들이 부상의 위험이 높았으며, 훈련과 경험부족으로 인해 젊은 근로자들이 발암물질 노출 위험이 높아지고 있었다. 또한, 위해성을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하거나 평가할 수 없으며 직무에 개인 보호 장비가 필요한지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했다. 아울러, 건설 근로자는 일반적으로 먼지, 디젤 엔진 배기, 석면, 나무먼지 등에 노출되어 있으며 지상 정비 노동자, 페인트공 등의 실외 작업들도 살충제 등에 충분히 노출된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어 질병을 유발하기 충분한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흔히 야외에서 근무하는 건설현장 근로자는 실내에서 일하는 작업자보다 독성물질 노출이 적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미세먼지, 흙먼지 등이 심한 날에는 머리카락까지 하얗게 될 정도로 많은 먼지를 뒤집어 쓰고 일을 한다. 또한, 건설현장에서 다뤄지는 금속과 폴리우레탄 같은 물질을 다룰 때 발생하는 유독가스 등은 근로자에게 치명적인 해를 끼치기도 한다. 문제는 이런 유해 물질이 사랑하는 가족이 있는 집으로까지 가져갈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연구결과에 나왔다. 24일 세이프티플러스헬스(Safety+Health)와 국내 산업계에 따르면, 독성 금속에 노출되는 건설근로자가 퇴근 후 집으로 돌아가면 가족들이 간접적으로 해당 독극물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스턴대학교 공중보건대학원(Boston University’s School of Public Health)과 하버드대학교 T.H. Chan 공중보건대학원(Harvard University’s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 연구진은 최소 1명의 자녀를 둔 근로자 27명(건설업 종사자 21명)의 집을 방문해 먼지 샘플을 채취하고 관찰했다. 연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