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전체기사 보기

들끓는 한반도 알고 봤더니 아중 고기압…서울·대전 37도

북태평양·티베트 고기압에 덮여 햇볕 세고 고온다습한 남동풍 유입 북태평양고기압과 티베트고기압에 이중으로 덮이면서 무더위 계속 고기압권에선 공기가 하강하면서 압축되며 온도가 오르는 '단열승온' 현상 나타나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25일 서울과 대전 한낮 기온이 37도가 되겠다. 이처럼 가마솥 더위가 계속되는 것은 한반도 상공이 고기압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북태평양·티베트 고기압에 덮여 햇볕이 세고 고온다습한 남동풍이 유입된 결과다. 기상청은 25일 낮 기온이 높게는 37도까지 치솟는 등 매우 무덥겠다고 예보했다. 무더위는 다가오는 주말에도 변함없이 이어지겠다. 밤사이 서울과 강원 강릉, 충북 청주, 부산, 제주 등 도심과 해안을 중심으로 열대야가 나타났다. 밤에도 열이 식지 않은 것으로, 열이 계속 축적되고 있다. 한반도가 북태평양고기압과 티베트고기압에 이중으로 덮이면서 한낮에 매우 무덥겠다. 고기압권에선 공기가 하강하면서 압축되며 온도가 오르는 '단열승온' 현상이 나타나 덥다. 또 하늘에 구름이 없이 맑아 햇볕이 강하게 내리쫴 기온이 오른다. 이런 상황에 더해 현재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타고 고온다습한 남동풍이 유입되고 있다. 더울 수밖에 없는 상황인 셈이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서울과 대전 등의 낮 기온이 37도까지 오르겠으며 광주 최고기온이 36도, 대구는 35도, 인천은 34도, 울산과 부산은 32도겠다. 기온과 습도가 모두 높아 대부

경남 산청에 19일 하루 283㎜…나흘 동안 632㎜, 최고는 740mm

산청군 시천면에 누적 강수량 740㎜...경남 지역은 수마로 초토화 산청은 지난 봄철 산불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지역이어서 이날 수해 산청군, 합천군 등에는 크고 작은 산사태와 토사유출 발생 경남서 사망 3명, 심정지 2명, 실종 3명 발생...재산 피해 막대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집중호우로 경남서 사망 3명, 심정지 2명, 실종 3명이 발생했다.산청군은 사상 초유로 전 군민 대피령이 내려졌다. 산청은 19일 하루 283㎜의 폭우가 내렸고, 나흘 동안 632㎜ 물폭탄이 쏟아졌다. 최고는 산청군 사천면 740mm 내렸다. 이밖에 경남 지역은 수마로 초토화되었다 연합뉴스 집계에 따르면, 경남 산청군에 19일 하루 283㎜의 비가 쏟아지는 등 나흘 동안 산청군 전역에 632㎜ 물폭탄이 쏟아졌다. 경남도에 따르면 19일 0시부터 오후 1시 사이 산청군에 283㎜의 집중호우가 내렸다. 16일부터 4일간 산청군 시천면에 누적 강수량 740㎜를 기록하는 등 산청군 일대에 632㎜의 극한 호우가 퍼부었다. 이어 함안군 532.5㎜, 합천군 502㎜, 하동군 349㎜, 창녕군 350㎜ 등 경남 18개 시군에 4일간 평균 255㎜가 넘는 비가 쏟아졌다. 이날 오후 2시 30분 기준, 합천군, 산청군 등 경남 14개 시군에 호우경보, 나머지 4개 시군에 호우 주의보가 발령된 상태로 지역별로 폭우가 이어지고 있다. 도는 이날 정오께 비상단계 근무 기준을 비상 2단계(경계)에서 비상 3단계(심각)로 격상해 총력 대응에 들어갔다

내일까지 전남·경남 최대 비 300㎜ 더 내려

오전까지 비 소강상태…충청·전북·경북 최대 200㎜, 경기남부와 강원중남부 최대 150㎜ 18일 오전 비 소강상태를 보이겠으나 오후부터 집중 호우로 변하는 지역 많아 경기남부와 강원중남부 최대 150㎜ 더 내려 충남과 전남엔 1년 치 비 3분의 1 쏟아져…비 그치면 무더위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전남·경남에 주말인 19일까지 최대 300㎜ 비가 더 내린다. 충청·전북·경북 최대 200㎜, 경기남부와 강원중남부 최대 150㎜ 더 내리겠다. 18일오전까지 비가 소강상태를 보이겠으나 오후부터 집중 호우로 변하는 지역이 많겠다. 18일 현재 충남과 전남엔 1년 치 비의 3분의 1이 쏟아져 피해가 컸다. 간밤에도 전남과 충남에 호우가 내렸다. 18일 오전 8시 현재는 수도권과 충남 북부 서해안에 시간당 10㎜ 안팎의 약한 비만 내리는 등 비가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서해상에서 비구름대가 지속해서 유입되고 있어 19일까지 전국 어디든 시간당 강우량 30∼80㎜의 집중호우가 쏟아질 수 있겠다. 연합뉴스가 전국 지국망을 통해 집주 호우 피해 집계에 따르면, 17일 저녁 전남 신안군 홍도에 1시간 동안 75.0㎜의 비가 쏟아지는 등 전남권에 비가 집중됐다. 경남에도 많은 비가 내렸는데 경남 거제시 능포동(양지암)엔 이날 0시 48분부터 1시간 동안 비가 51.5㎜나 왔다. 이로인해 배가 파손되고 방파제가 무너지는 등 사고가 잇따랐다. 16일부터 1년 치 비 3분의 1이 쏟아진 지역들이 있을 정도로 지난 이틀 여간 정말 많은

당진천 범람, 충청 경기 남부 호우경보, 서울도 폭우

중대본 2단계·위기경보 '경계' 격상 짧은 시간 강한 강수 예상...하천 갑자기 불어날 수 있어 접근 및 야영 자제 지역에 따라 강수 강도와 강수량의 차이가 크겠고, 강약 반복 호우 피해가 예상 중대본 2단계 격상에 따라 호우 위기경보 수준도 '주의'에서 '경계' 단계로 상향 집중 호우에 총력 대응하기 위해 행안부, 환경부, 산림청 관계 부처 비상근무 체제 인명피해 예방 최우선 목표...지자체, 경찰, 소방 등 관계기관 즉각 출동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밤새 뇌성 번개가 치며 폭우가 쏟아졌다. 17일 오전 6시 30분 현재 많은 비가 내리고 있는 가운데 경기남부와 충청 지방에 호우경보가 내렸다. 중앙재해대책본부는 재해에 대비, 2단계로 격상하고 위기경보를 '경계'로 격상했다. 17알 오전 충남 일대는 시간당 1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져 당진천이 범람했다. 이에따라 ‘주민 대피령’이 내렸다. 당진을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호우 피해가 잇따랐다. 충남 당진시 일대에 밤사이 시간당 100mm가 넘는 비가 쏟아져 시내 곳곳에 물이 잠기고 주민 대피령이 발령됐다. 당진시는 당진천이 범람 중이니 인근 주민들은 즉시 대피하라고 알렸다. 당진시 등에 따르면 16일 밤부터 17일 오전까지 당진을 비롯한 중부 지방에 폭우가 쏟아졌다. 이밖에 서산, 태안 등 충남 일대에 비가 집중적으로 내렸다. 서산 수석동에는 17일 오전 현재 시간당 114.9mm의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산림청은 서산 일대에 산사태 경보를 발령한 상태다. 대전, 세종, 충청은 산사태 위기 경보가 ‘경계’로 격상됐다. 태안군은 17일 오전 안전문자를 통해 시내 도로 일부가 물에 잠겨 차량 통행이 통제 중이라고

16일부터 '찐장마'…토요일까지 전국에 폭우

16일부터 좁은 지역에 강하고 많은 비 내리면서 지역 강수 강도와 강수량 차이 클 것 강약 반복 성질 다른 두 공기 충돌…'띠' 모양 비구름대 형성 16일 저녁부터 17일 아침까지 중부 남쪽과 충청에 '집중호우' 짧은 시간에 강한 강수, 하천의 물이 갑자기 불어날 수 있어 접근 및 야영 자제 하늘이 갑자기 어두워지는 경우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야 모레 낮부턴 제주·남부지방 호우…일요일부터 다시 폭염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15일 비가 내리는 가운데 16일부터 진짜 장마가 온다. 16일 오후부터 20일까지 전국에 많은 비가 예상된다. 기상청은 15일 성질 다른 두 공기가 충돌하고, 띠 모양의 비구름대를 형성하면서 많은 비가 내리겠다고 예보했다. 곳에 따라 폭우도 내려 진짜 장마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16일 저녁부터 17일 아침까지 중부 남쪽과 충청에 '집중호우'가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17일 낮부터 제주와 남부 지방에 호우가 예상되고, 날씨는 이번 주 일요일부터 날이 개면서 다시 폭염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에 따르면 16일 서쪽에서 저기압이 다가오면서 그날 오후 저기압 전면에서 부는 고온다습한 공기를 맞는 경기 남부와 강원 남부, 충청 등에 비가 거세게 쏟아지기 시작하겠다. 기상청은 16일 저녁부터 17일 아침까지 시간당 30∼50㎜씩 비가 쏟아질 때가 있을 것으로 본다. 17일 낮 이후에도 성질이 다른 두 공기의 충돌이 지속하면서 전국에 비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타고 유입된 다량의 수증기를 북서쪽에서 들어오는 건조공기가 강하게 밀어 압축하면서 대기가 특히 불안정한 제주와 남부지방을 중

폭염에 쓰러진 질환자 하루 200명...올해 사망자 8명

환자 수 1000명 넘은 건 2018년보다 12일 빨라 8일까지 누적 온열질환자는 총 1228명...작년 같은 기간(486명)의 2.5배 온열환자는 작업장(28.7%), 논밭(14.4%) 등 실외(81.1%)가 압도적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 뜨거운 곳에 장시간 노출되면 걸려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 증상...방치 시 생명 위태로울 수 있어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폭염에 쓰러진 질환자가 하루 200명씩 속출하고 있다. 이는 2018년 이후 처음이다. 환자 연인원이 1000명을 넘긴 건 2018년보다 12일 이르다. 그리고 8일 폭염 질환 사망자가 1명 추가돼 올여름 총 8명이 되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기록적인 무더위가 맹위를 떨친 8일 하루에만 온열질환자가 200명을 넘어섰다. 역대 가장 뜨거웠던 해로 불리는 2018년 이후 7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날 하루 전국 516개 응급실을 찾은 온열질환자는 모두 238명(사망 1명 포함)이다. 하루에 온열질환자가 200명을 넘은 것은 최악의 폭염으로 꼽히는 2018년 8월 3일(229명) 이후 처음이다. 그해 8월에는 1일(216명), 2일(250명)에 이어 사흘 연속 환자가 200명을 넘었다. 이달 들어 온열(폭염)질환자는 4일 43명 이후 매일 늘어 7일에 105명으로 늘더니 8일 두 배로 급증했다. 이 수치는 9일에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에 따르면 전날 오후 3시 9분께 서울(종로구 서울기상관측소 기준) 기온이 37.8도까지 오르면서 서울에서 근대적인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7월

1908년 이래 서울 최고기온 기록...7월 초인데 37.1도

수원·대전·목포·부산도 86년만의 '신기록'...서울은 7월 상순 117년 만에 가장 더운 날 이천(36.1도),부여(36.3도), 대전(36.1도), 충북 청주(35.7도), 충남 서산(35.7도)·보령(35.8도) 폭염에는 온열과 수인성 질환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7월 초인데도 서울의 기온이 37.1도다. 1908년 기상 관측 이래 최고기온을 기록했다. 수원·대전·목포·부산도 86년만의 신기록을 기록했다. 8일 오후 2시께 서울 기온이 37.1도까지 오르면서 근대적인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7월 상순 기온로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종전 서울(종로구 서울기상관측소 기준) 7월 상순 최고기온은 1939년 7월 9일 기록된 36.8도로 86년 만에 신기록이 세워졌다. 연합뉴스 분석에 따르면, 서울에서 근대적인 기상관측이 1907년 10월 시작해 7월 기온관측이 1908년부터 이뤄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날이 7월 상순으로선 117년 만에 가장 더운 날이 됐다. 서울 이외에도 강원 원주(최고기온 35.4도)와 인제(34.8도), 경기 수원(35.7도)과 이천(36.1도), 충북 충주(35.2도)와 청주(35.7도), 충남 서산(35.7도)·천안(35.1도)·보령(35.8도)·부여(36.3도), 대전(36.1도), 전북 고창(35.8도), 전남 목포(33.7도)와 영광(35.3도), 부산(34.3도) 등에서도 이날 기상관측 이래 7월 상순 최고기온 1위 기록이 바뀌었다. 동해북부 해상에 자리한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