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전체기사 보기

오늘 서울 33도 내일도 30도 이상...월요일 오후까지 전국 대부분 비

낮 최고 30도 안팎 무더위는 계속된다 중부지방·남해안·제주도 등 시간당 30㎜ 내외 '매우 강한 비' 이틀간 예상 강수량은 수도권·강원도 20∼60㎜(인천·경기북부 80㎜이상 충청권 10∼60㎜, 전라권 10∼60㎜(일부 남해안 80㎜이상) 경남 20∼80㎜(일부 남해안 100㎜이상), 경북 10∼50㎜ 제주도(북부제외) 30∼80㎜(산지 150㎜이상), 제주도 북부 10∼40㎜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오늘(15일) 서울 날씨가 최고 32.5도를 기록했다. 내일(16일)도 30도를 오르내리는 날씨를 보이겠다. 대신 월요일 오후까지 전국 대부분 비가 내리겠다. 중부지방·남해안·제주도 등 시간당 30㎜ 내외 '매우 강한 비'가 예상된다. 이른 장마가 시작된 것은 이상기후 탓이다. 이상기후는 온난화 현상 등 환경 변화 때문이다. 따라서 지구촌의 온난화 현상을 막아야 한다. 휴일인 15일 수도권은 올해 첫 폭염특보가 내려졌다. 15일 서울의 낮 최고 기온은 33.2도, 경기 안성은 34.5도까지 치솟았다. 그 밖의 내륙 지역도 30도 안팎까지 오르며 더웠다. 내일까지 예상 강수량은, 제주 산지에 최대 150mm 이상, 남해안에 최대 100mm 이상, 중부 지방에 최대 80mm의 많은 비가 쏟아지겠다. 특히, 15일 밤부터는 중부 지방에, 내일 새벽부터는 제주와 남해안에 시간당 30mm 안팎의 강한 비가 집중되겠고, 이들 지역은 바람까지 강하게 불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16일 아침 전국 최저기온은 19∼23도, 낮 최고기온은 24∼31도겠다. 기상청은 당분간 기온이 평년(최저 15∼19도, 최고 23∼29도)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을

경상도 가뭄 나타나는 가운데 전국 곳곳 기상가뭄 예고...6월 가뭄 예·경보 발표

최근 6개월 전국 누적 강수량은 평년(1991~2020년)의 80.9%(273.2㎜) 전국 댐·저수지 저수율 평년 수준 이상 유지 기상 전망과 용수 수급 상황 모니터링 등 가뭄상황 지속 관리 일부 섬 지역은 지역 특성 고려해 비상급수 실시 중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정부는 전국 가뭄 상황에 대한 6월 가뭄 예·경보를 9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경상도 지역에서 가뭄이이 나타나는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기상가뭄이 예고되고 있다. 최근 6개월 전국 누적 강수량은 평년(1991~2020년)의 80.9%(273.2㎜)다. 이중 경상도를 중심으로 보통가뭄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 정부는 앞으로도 농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강수량과 저수율 등 가뭄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관리할 계획이다. 생활·공업용수 주요 수원인 다목적댐 19곳과 용수댐 12곳의 저수량은 각각 예년의 120.9%, 93.8% 수준으로, 전국 생활·공업용수는 정상 공급 중이다. 다만, 일부 내륙지역은 예년 대비 저조한 강수량으로 ‘관심’ 또는 ‘주의’ 단계로 관리 중이며, 일부 섬 지역은 지역 특성을 고려해 비상급수를 실시하고 있다. 정부는 관계 부처와 함께 가뭄 상황을 점검하면서 매월 가뭄 예‧경보를 발표하고, 가뭄 대비 대책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당분간 내륙 중심으로 낮 기온 30도 이상

경기내륙과 충청권내륙, 전라권내륙, 경북권내륙 최고체감온도가 31도 이상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으니 야외 활동과 외출 자제, 식중독 예방을 위해 음식 관리 철저 영유아, 노약자, 만성질환자는 야외활동 시간을 줄이고 건강관리에 유의 축산농가에서는 송풍과 분무장치 가동하여 축사 온도 조절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9일부터 당분간 내륙을 중심으로 낮 기온이 30도 이상으로 오르는 곳이 있겠다. 9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리다가 오후부터 맑겠고, 제주도는 흐리겠다. 10일은 전국이 대체로 맑겠으나, 수도권과 강원도는 대체로 흐리다가 오후부터 맑아지겠다. 기상청은 당분간 낮 기온이 내륙 중심으로 30도 이상 오르겠고, 특히 9일은 경기내륙과 충청권내륙, 전라권내륙, 경북권내륙에, 내일(10일)은 경상권내륙을 중심으로 최고체감온도가 31도 이상으로 올라 덥겠으니, 폭염영향예보(11시 30분 발표)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에 각별히 유의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o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으니 야외 활동과 외출 자제, 식중독 예방을 위해 음식 관리 철저 o 영유아, 노약자, 만성질환자는 야외활동 시간을 줄이고 건강관리에 유의 o 야외작업장에서는 시원한 물과 휴식 공간 준비 o 축산농가에서는 송풍과 분무장치 가동하여 축사 온도 조절 o 농작업 시 물을 자주 마시고 통기성 좋은 작업복 착용 체감온도는 기온에 습도의 영향이 더해져 사람이 느끼는 더위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온도로, 습도 약 55%를 기준으로 습도가 10% 증가 혹은 감소함에 따라 체감하

지구 사상 최악 폭염으로 간다...5년 내 확률 80%

현재의 온난화 수준으로도 극한 폭염과 극한 강수 극심한 가뭄, 해빙 융해, 해양 온난화, 해수면 상승 발생 1.5도 초과 상승 확률 86%···북극은 2.4도 오르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5년 내 사상 최악의 기후변화가 온다. 그것은 최악의 폭염으로 나타난다. 폭염 확률 80%로 기온 상승 마지노선도 깨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2025~2029년, 산업화 이전 대비 +1.2~1.9도 전망하고 있다. 1.5도 초과 상승 확률은 86%이며 북극은 2.4도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경향신문이 28일 세계기상기구(WMO)가 공개한 ‘지구 1년~10년 기후 업데이트(Global Annual to Decadal Climate Update·GADCU)’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2025~2029년까지 전 지구 평균 기온은 산업화(1850~1900년) 이전 대비 1.2~1.9도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GADCU 보고서는 WMO의 1년~10년 기후 예측 선도센터인 영국 기상청이 매년 작성한다. 올해는 한국 기상청을 포함한 14개 기관의 예측 자료가 분석에 사용됐다. 앞으로 5년 안에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찾아올 가능성이 80%에 달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 기간 전 지구 평균 기온 상승 폭이 1.5도를 넘어설 가능성은 86%로 예측됐다. ‘1.5도’는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해 국제사회가 제시한 마지노선이다. 앞으로 5년

변덕 심한 날씨, 22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

변덕스런 날씨 지속...21일엔 한낮 기온 서울, 대구, 광주 등 30도 22일엔 전국적으로 비가 내리고, 날씨도 21일에 비해 다소 낮아지겠다 대부분 해상에 바다 안개가 짙게 끼는 곳이 있겠고 선박 항해에 각별히 조심해야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변덕스런 날씨가 지속되고 있다. 19-20일은 봄날씨 치고는 추운 날씨였으나 21일엔 한낮 기온이 서울을 비롯한 대구, 광주 등지가 30도를 오르내리는 날씨를 보였다. 22일엔 전국적으로 비가 내리고, 날씨도 21일에 비해 다소 낮아지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22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가 내리는 곳이 있겠다. 대부분 해상에 바다 안개가 짙게 끼는 곳이 있겠고, 특히 섬 지역에는 짙은 안개가 끼면서 비가 내리는 곳이 있겠다. 22일 새벽(00~06시)부터 수도권과 강원도, 충청권내륙에, 오전(06~12시)부터 전북과 경북권에, 낮(12~15시)부터 전남동부와 경남서부에 비가 시작되겠다. 이 비는 수도권과 강원도는 오전(06~12시)에, 충청권내륙과 경상권은 오후(12~18시)에 그치겠으나, 전남동부는 밤(18~24시)까지, 전북은 모레(23일) 새벽(00~06시)까지 이어지는 곳이 있겠다. * 예상 강수량(22일) - (수도권) 경기동부: 5~20mm/ 서울.인천.경기서부: 5mm 내외 - (강원도) 강원도: 5~20mm - (충청권, 충남서해안 23일) 대전.세종.충남, 충북: 5~10mm - (전라권, 전북 23일까지) 전

9일 강풍 동반한 많은 비 내린다...10일까지 이어지는 곳도

남부 지방과 제주도는 9일 밤 그칠 것 예상 수도권과 강원 영동, 충북은 10일 밤까지, 강원 영서는 11일까지 이어져 제주도 시간당 30∼50㎜, 남해안과 지리산 부근 시간당 20㎜ 강한 비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9일과 10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가 내리겠고, 남해안과 제주도를 중심으로 매우 강하고 많은 비가 내리겠다. 또한 해안을 중심으로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고, 전해상에 물결이 매우 높게 일겠다. 비는 9일 새벽부터 충청권과 남부 지방, 제주도에서 시작돼 전국 대부분 지역으로 확대되겠다고 기상청은 예보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비는 남부 지방과 제주도는 9일 밤 그치겠고, 수도권과 강원 영동, 충북은 10일 밤까지, 강원 영서는 11일 새벽까지 비가 이어지는 곳이 있겠다. 예상 강수량은 제주도가 북부를 제외한 지역에 50∼100㎜(많은 곳 산지 200㎜ 이상, 남부·중산간 150㎜ 이상)의 많은 비가 내리겠다. 특히 제주도에는 시간당 30∼50㎜, 남해안과 지리산 부근을 중심으로는 시간당 20㎜ 안팎의 강한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천둥 번개도 칠 것으로예상돼 안전에 유의해야겠다. 전남 남부·부산·울산·경남 남해안·지리산 부근·제주도 북부 20∼60㎜(많은 곳 80㎜ 이상), 울릉도·독도 5∼20㎜다. 서울·인천·경기·서해5도·대전·세종·충남·충북·광주·전남 북부·전북·경남 내륙(지리산 부근 제외)·대구·경북 10∼40㎜,

강풍과 함께 시간당 10∼20㎜ 강한 비...대구 산불도 자연 진화

돌풍·천둥·번개 동반한 비...일부 지역엔 지름 5㎜ 미만 싸락우박 순간풍속 시속 55㎞(산지는 70㎞) 웃돌 정도로 바람 거세 수도권·부산·제주 10∼50㎜…경기북서부엔 20∼60㎜ 강수 예상 바다도 풍랑특보가 내려질 정도로 바람과 물결 거세겠으니 주의해야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강풍을 동반한 시간당 10∼20㎜의 비가 쏟아진다. 이 비로 재발화된 대구 산불도 진화되고 있다. 수도권·부산·제주 10∼50㎜…경기북서부엔 20∼60㎜ 강수가 예상된다. 강원·충청·경북엔 10∼40㎜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5월 첫날인 1일 오전부터 비가 내리기 시작해 밤 늦게까지 전국에 꽤 많은 비가 오겠다. 1일 서해북부해상에서 북한 쪽으로 이동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수도권·강원내륙·충청·호남·경남·제주부터 비가 내리기 시작해 오후 전국으로 확대된 뒤 밤까지 이어지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경기북서부엔 20∼60㎜, 나머지 수도권과 서해5도·전남해안·전남동부내륙·전북서해안·부산·경남남해안·경남남서내륙·제주엔 10∼50㎜(제주남부중산간과 제주산지 최대 60㎜ 이상)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 강원내륙·산지와 충청·광주·전남내륙(동부내륙 제외)·전북내륙·울산·경남내륙(남서내륙 제외)·경북(중남부내륙·동해안 제외)·울릉도·독도엔 10∼40㎜, 강원동해안·대구·경북중남부내륙·경북동해안엔 5∼10㎜ 강수가 전망된다. 돌풍·천둥·번개를 동반한 비가 시간당 10∼20㎜씩 쏟아질 때가 있겠고, 일부 지역엔 지름 5㎜ 미만 싸락우박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