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산불로 초토화된 세계 최강국 미국이 왜 이러나. 그 위대한 문명국가가 5일동안 왜 이렇게 속수무책인가.
잿더미만 남은 LA 주택가가 너무 참혹하다는 외신이 연일 타전돼오고 있다. 그런 가운데 화재 진압은 아직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12일(한국시간) 현재 인명 피해 11명, 재산 피해 90조원을 넘어 얼마가 될지 가늠할 수조차 없다는 것이 현지 소방 당국의 진단이다. 화재 면적만도 서울 면적의 3분의 1(약 200km2)에 이른다. 서울의 면적은 605km2다.
세계 최강대국으로 꼽히는 미국 중산층의 튼튼한 골조 주택도 거대한 자연의 힘 앞에서는 아무런 힘을 쓰지 못했다. 한 주민은 화마가 휩쓸고 간 폐허를 바라보며 "너무 처참하다. 매우, 매우 슬프다"고 울먹였다.
다른 주민은 "아무래도 건조한 날씨 탓이 큰 것 같다"고 원인을 말하며 "LA에서 태어나 지금까지 50년 동안 살아왔지만, 겨울에 이렇게 비가 안 오는 경우는 처음이고, 건조한 날씨도 처음"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산불을 급속히 키운 건 돌풍이다 바람이 이 정도로 심한 적은 결코 없었다. 분명히 (기후변화 측면에서) 뭔가가 달라졌고, 그게 정말 무섭다"고 말했다. 사진으로 LA 산불 현장을 살펴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