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국회는 비상계엄 해제 가결

2024.12.04 03:16:03 이계홍 기자 kdsn6@gmail.com

윤대통령 "국회 범죄자소굴, 입법독재로 체제전복 기도"
"종북세력 척결·헌정질서 지키겠다…빠른 시간 내 반국가 세력 척결"
국회 본회의 개의, 재석 190명에 찬성 190명으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가결
국회 계엄 해제 요구안 가결된 뒤 국회 진입 군인들 철수
시민과 유튜버 등 국회 정문 앞에 모여 국회 진입 제지하는 경찰과 충돌
시민들 "비상계엄 해제하라" "윤석열을 체포하라"외치며 시위중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 담화를 통해 "종북 세력을 척결하고, 자유 헌정질서를 지키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 비상계엄을 통해 망국의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는 자유대한민국을 재건하고 지켜낼 것"이라며 "이를 위해 저는 지금까지 패악질을 일삼은 망국의 원흉, 반국가 세력을 반드시 척결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체제 전복을 노리는 반국가 세력의 준동으로부터 국민의 자유와 안전, 그리고 국가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며 미래 세대에게 제대로 된 나라를 물려주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이어 "저는 가능한 한 빠른 시간 내에 반국가 세력을 척결하고 국가를 정상화시키겠다"며 "계엄 선포로 인해 자유대한민국 헌법 가치를 믿고 따라주신 선량한 국민들께 다소의 불편이 있겠지만 이러한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이와 같은 조치는 자유대한민국의 영속성을 위해 부득이한 것"이라며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서 책임과 기여를 다한다는 대외 정책 기조에는 아무런 변함이 없다"고 했다. 이어 "대통령으로서 국민 여러분께 간곡히 호소드린다. 저는 오로지 국민 여러분만 믿고 신명을 바쳐 자유 대한민국을 지켜낼 것"이라며 "저를 믿어주십시오"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등 언론 보도에 따르면, 3일 오후 11시 40분 넘어서는 군으로 추정되는 헬기 3대가 한강 상공을 지나 국회로 진입했고, 곧이어 총기를 든 군인들이 국회 본청에 진입을 시도했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무장한 계엄군은 국회 본청 진입 과정에서 책상과 의자 등으로 본청 정문을 봉쇄하고 진입을 막으려는 국회 보좌진 등과 실랑이를 벌였다. 계엄군 일부는 진입로가 막히자 국민의힘 대표실 등으로 우회해 유리창을 깨고 국회의사당 진입에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계엄군과 몸싸움을 벌이다 넘어지거나 다친 사람들이 생기기도 했다.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가결하기 위한 회의가 열리는 국회 본회의장 출입문 앞은 계엄군과 그 진입을 막으려는 보좌진이 대치했다.

 

바리케이드를 친 보좌진 등은 소화기를 분사하며 본회의장에 진입하려는 군인들을 막았다. 이런 대치에도 불구하고 본회의장에는 여야 의원 190명이 모여 본회의가 개의됐고, 재석 190명에 찬성 190명으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됐다.

 

한편 윤 대통령이 3일 심야 긴급 담화에서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4일 새벽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됐다. 본회의장에는 여야 의원 190명이 모여 본회의가 개의됐고, 재석 190명에 찬성 190명으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됐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이날 오전 1시 2분께 "계엄 해제 결의안이 조금 전 국회에서 가결됐다. 이에 따라 계엄령 선포는 무효가 됐다"고 공식 선포했다. 이 소식을 접한 여야 의원을 비롯해 로텐더홀에 모여있던 보좌진들은 "이겼다"고 외치며 환호했다. 계엄 해제 결의안이 가결됨에 따라 계엄군이 국회 경내에서 철수하면서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2시간 30여분 만에 일단락됐다.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되기까지 2시간 30여분간 국회는 긴급하게 돌아갔다. 1979년 이후 45년 만에 선포된 비상계엄에 전신을 무장하고 소총을 두른 계엄군이 국회에 무력으로 진입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비상계엄 선포 직후 국회는 출입문이 폐쇄됐고, 신원이 확인된 일부 인원만 출입이 허용됐다.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1시간 후인 3일 오후 11시 30분께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사당에는 국회 경비대와 영등포경찰서 직원들이 담장을 따라 배치됐다. 비상계엄 선포 직후부터 국회의원은 물론, 국회 사무처 직원과 보좌진, 국회 출입 기자만 신원을 확인한 후 지정된 출입문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비상계엄 선포 소식을 들은 일부 시민과 유튜버 등이 국회 정문 앞에 모이면서 국회 진입을 제지하는 경찰과 충돌하며 대치했다. 이들은 "비상계엄 해제하라" "윤석열을 체포하라"고 외쳤다. 이들은 4일 새벽 3시 현재까지 국회 앞 광장에서 계엄해제를 요구하며 농성을 벌이고 있다. 


 

Copyright @한국재난안전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한국재난안전뉴스 | 주소 : (028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23길 47, 603-486호 | 전화번호 : 02-735-0274 등록번호 : 서울,아53882 | 등록일 : 2021-08-11 | 발행일 : 2021-08-11 | 발행인 : 김찬석 | 편집인 : 이계홍 Copyright @한국재난안전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