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요사이 잦은 어선 피해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툭하면 어선 전복과 침몰로 어부의 희생이 잇따르고, 어선 침몰로 인한 재산 피해도 늘고 있다. 정부는 이에 어선 안전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우선 인명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인다. 또한 해양안전 특별경계 강화 기간(2.13~3.15)을 설정하고, 어선사고 예방 캠페인 등 어선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17일 ‘어선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긴급대책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참석기관은: 중앙부처(행안부, 해수부, 해경청)와 지자체(부산, 인천, 울산, 경기, 강원,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및 수협 등 유관기관이다.
지난해 어선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는 2014년 이후 가장 많았고, 올해에도 3명 이상 인명피해가 발생한 어선 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금년 2개월동안 어선 사고 5건으로 사망·실종 29명 발생(2.17일 기준)했다.이에, 회의에서는 어선 사고 예방을 위한 기관별 안전관리 강화 대책을 논의했다.
해수부는 최근 어선 사고로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관계기관 대비 태세를 확립하고, 어업인 대상 안전 지도‧점검도 강화한다.기상악화 시 출입항 규정 준수 및 출어선 안전해역 대피, 위치발신장치 및 구명조끼 지도‧감독 및 단속,어업인에게 유선‧문자‧무선 등으로 기상 상황 신속전파‧계도, 어선 불법증‧개축 점검 및 어선검사 강화, 어선 안전특별 점검 등을 실시하기로 했다.
해양경찰청은 지난 13일(목)부터 3월 15일(토)까지 해양안전 특별경계 강화 기간으로 정하고, 해경 함정 전진 배치, 24시간 비상 출동 태세 유지를 비롯한 긴급구조 대비・대응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지자체에서는 어선 내 안전설비(구명조끼, 통신기기, 화재 경보장치) 구비 상태를 특별점검하고, 어업인들이 구명조끼 착용이나 무선설비 상시 작동과 같은 필수 안전 수칙을 준수하도록 계도를 강화한다.
행정안전부는 풍랑특보 발효 시 지켜야 할 안전관리 강화 조치를 연안 지자체에 통보했으며, 어업인에게도 필수 안전 수칙을 재난문자(CBS)와 재난방송(DITS)을 통해 지속 안내하고 있다. 즉 조업 중 구명조끼 착용, 무리한 항행 자제 등 안전한 출항 관리, 항행 중 무선위치발신 장치 상시 작동, 화재 예방 유의(LPG 등 인화물질 관리, 적정 소화기 비치 등) 등이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겨울철은 강풍·풍랑으로 어선 사고 발생 위험이 크고, 수온이 낮아 사고 발생 시 인명피해로 이어지기 쉽다”며, “정부는 겨울철 어선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관련 부처 및 기관이 협력하여 안전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