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지난 1월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됐음에도 안전사고 사망자가 뚜렷하게 줄어들지 않은 가운데, 어떻게 하면 안전사고를 줄이는가가 기업들의 핵심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기업 내 안전 확보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제대로 갖춰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안전 프로그램 확보를 위한 핵심 요소를 파악하고 점검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제안이다.
23일 미국의 환경보건저널인 EHS투데이와 산업계에 따르면, 안전 확보를 위한 지름길은 경영진과 근로자 모두 안전문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래는 안전 포그램 확보를 위해 필요한 제고 요소들이다.
기본적 요구사항, 법(Requirement: It’s The Law)
모든 조직내 직원 안전은 필수적이기에 각 나라에서는 산업에 필수적인 법을 적용하거나 해당 기관을 만들어 1970년 미국은 산업안전보건국(OSHA)를 설립해 모든 산업에 안전하고 건강한 근로조건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있다. 법으로 표준을 설정하고 규제한다면 작업장 부상 감소와 예방에 주력할 수 있다.
재정적 뒷받침(Financial Impact)
부상자 감소를 위해 기업이 신경써야 할 또 다른 주요 요인은 '비용'이다. 안전 사고는 개인의 생산성과 정신건강 등에 부정적 영향을 끼쳐 의료 비용을 발생시킨다. 근로자의 경력을 부상으로부터 보호하고,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의 재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정기적 안전요소 확인(Consistent From Year to Year)
제조시설은 의료시설 다음으로 부상자 수가 많아지고 있다. 제조업의 역동적인 환경은 움직이는 잠재적인 위험 조건을 생성한다. 매년 정기적으로 안전요소와 위험 상태 등급을 확인하는 것은 고유한 입력 안전 잠재 수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위험 상태 주기는 인력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기업 내 전체적인 감사가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기업내 포괄적인 평가를 달성하고 위험 제거를 촉진한다.
작업장 내 부상 데이터화(Characterization of Workplace Injuries)
부상 예방을 위해서는 작업장 내 위치와 특정 직업에 따라 부상 데이터를 추적해야 한다. 부상데이터는 위치와 직업에 대한 위험 수준 개발(높음, 중간, 낮음)을 체크할 수 있으며, 전략적 우선순위는 고위험과 해결 목록에 중점을 둔다. 이같은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위험에 기여할 수 있는 요소가 입력돼야 하며, 이를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입력요소는 위험 활동을 추적할 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위험 수준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위험의 심각성(Severity of Risk)
모든 작업장에는 위험이 존재한다. 기업은 모든 안전을 검토하고 필요한 대책의 수준을 결정할 의무가 있다. 사고 발생 후결정은 위험에 대한 평가를 기반으로 하며, 위험 수준을 주기적으로 검토해 조직이 위험 상태를 통제하기에 충분한 대책이 남아 있는지 결정한다.
안전 프로그램은 규정 준수와 훈련 두 가지 기둥으로 구성돼 있는데 그들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성공적인 안전 프로그램을 위해 필요한 존재다. 모든 조직은 정부, 기업 내 세부 사항을 따라 문서화해 유사한 프로세스를 따라야 하고, 안전교육 또한 공통적인 방식으로 설계해야 한다.
근로자 교육(Employee Education)
안전 규정 준수 기준을 지시하기 위해 초기 및 정기 교육 세션을 나눠 안전을 위한 근로자 교육도 필요하다. 사진 등의 시각자료를 활용한 안전교육의 맞춤화는 잠재적인 위험 완화에 대한 인력의 참여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더불어, 그것은 직원들이 정책과 규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줘 직업 건강과 안전에 대한 일관된 인식을 갖게 한다.
안전 대응 반응을 능동적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근로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안전보건 전문가들은 "인력 내에서 안전문화 변화를 주도하기 위해, 안전 리더십팀이 모범을 보여야 한다"며 "비정상적인 위험에 대한 우려와 해결방법에 대한 참여를 보여주고, 작업 구역의 다른 개인에 대한 기대치를 높게 설정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