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실내공기 개선에 자생식물이 좋습니다."

2024.12.23 11:31:12 이계홍 기자 kdsn6@gmail.com

국립생물자원관, 호랑가시나무 등 실내공기질 개선 효과 우수
자생식물 15종 관리 방법 공개... 미국 NASA에서 공기 정화 식물로 인정한 스킨답서스 등
실내공기질 개선과 함께 정서적 안정 등 생활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는 자생식물
애완동물보다 자생식물 기르는 것이 더 효과적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겨울철 실내공기 개선을 위해 자생식물을 심어보세요."  국립생물자원관이 호랑가시나무 등 실내공기질 개선 효과 우수한 자생식물 15종 관리 방법을 공개했다. 겨울철에는 실내 공기가 건조하고 환기가 잘 안되는 점을 고려해 이같이 실내 생활에 도움이 되는 식물을 기르는 것이 오히려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보다 더 위생적이고 정서적일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많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2020년부터 자생식물 32종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s)의 제거 효능에 대해 연구했다.

 

 

연구 방식은 자생식물을 실험용 특수 밀폐 유리 안에 넣고, 미세먼지와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주입한 후 시간별 오염물질의 농도변화를 측정했다.  아울러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공기 정화 식물로 인정한 스킨답서스(Scindapsus)와 비교하여 효능 여부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호랑가시나무, △세뿔석위, △큰봉의꼬리, △알록큰봉의꼬리, △반들대사초, △섬기린초, △후추등, △산수국 8종이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이었으며, △섬초롱꽃, △줄고사리, △미역고사리, △실고사리, △술패랭이꽃, △꿀풀, △하늘타리 7종은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s) 제거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했다. 

 

 

특히 크리스마스트리 장식과 ‘사랑의 열매’로 많이 알려진 호랑가시나무는 스킨답서스에 비해 시간당 미세먼지 제거량은 1.4배, 초미세먼지 제거량은 약 2배 높았다.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섬초롱꽃은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 능력이 스킨답서스보다 1.4배 이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 연구 대상 자생식물이 실내에서 키우기가 쉽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여 호랑가시나무의 관리 방법을 성탄절에 맞춰 국가야생생물소재은행 누리집을 통해 우선 제공하고 다른 식물들도 순차적으로 게재할 계획이다. 누리집은(species.nibr.go.kr/nibrbiobank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실내공기질 개선과 함께 정서적 안정 등 생활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는 자생식물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겠다”고 밝혔다. 실내 공기가 건조하고 환기가 잘 안되는 점을 고려해 이같이 실내에 습도를 조절해주는 자생식물을 기르는 것이 반려동물을 데리고 사는 것보다 더 위생적일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많다. 따라서 실내 자생식물을 기르는 취미를 기르는 것도 필요해보인다.

Copyright @한국재난안전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한국재난안전뉴스 | 주소 : (028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23길 47, 603-486호 | 전화번호 : 02-735-0274 등록번호 : 서울,아53882 | 등록일 : 2021-08-11 | 발행일 : 2021-08-11 | 발행인 : 김찬석 | 편집인 : 이계홍 Copyright @한국재난안전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