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김장철이 돌아왔다. 김장 식재료가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있는가. 또한 식재료들이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는가. 그동안 번거로움 등을 이유로 가정에서의 김장 수요는 줄어드는 반면, 포장김치 수요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데, 안전 관리된 김장김치가 제공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김치의 안전관리를 위해 유통·판매 중인 배추·무, 생굴 등 김장용 식재료를 수거하여 잔류농약과 중금속을 검사하고, 절임배추, 김칫속 등 제조·판매업소를 집중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와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본격적인 김장철을 맞아 김장 식재료 안전관리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13일 농업회사법인 ㈜한울(충남 청양군 소재)을 방문했다. 이번 점검은 ‘농산물 안전관리 강화’의 일환으로 가정, 급식업소 등에 공급되는 절임배추 등 김장 식재료의 위생·안전관리를 살피기 위해서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이날 현장에서 “식약처는 김치의 안전관리를 위해 유통·판매 중인 배추·무, 생굴 등 김장용 식재료를 수거하여 잔류농약과 중금속을 검사하고, 절임배추, 김칫속 등 제조·판매업소를 집중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치 제조 현장에서 식중독균 제어·저감 등에 참고할 수 있도록 식약처에서 마련한 「올바른 HACCP 관리를 위한 배추김치 제조 가이드라인」을 적극 활용하여 국민이 안심하고 김치를 구매할 수 있도록 철저하게 관리해달라”고 당부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배추·무·고춧가루 등 김장재료의 공급 여력은 충분한 상황이다”면서 “배추 등 채소류 가격이 하향 안정세이지만, 할인지원을 통해 소비자 체감 물가를 더욱 낮추고, 잔류농약 검사와 원산지 거짓표시 단속도 강화하여 국민들이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본격적인 김장철이 시작되면서 김장 주재료인 배추와 무는 출하지역이 확대되고 출하물량이 늘어나 도·소매가격이 하락 안정세로 접어들고 있다. 또한 고춧가루, 마늘, 양파, 대파 등 부재료도 생산량이 증가하거나 수입량이 늘어나 평년과 비슷하거나 낮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이날 김치은 대한민국김치협회 회장은 “번거로움 등을 이유로 가정에서의 김장 수요는 줄어드는 반면, 포장김치 수요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고 하면서, “㈜한울을 포함한 모든 회원사들이 소비자가 원하는 물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추 등 김치 원료를 충분히 확보하고 품질과 위생 관리도 철저히 하고 있으니 안심하고 주문해 달라”고 강조하였다.
식약처-농식품부는 K-푸드 수출 장벽 및 수출기업의 애로 해소를 위해 「케이-푸드(K-Food) 수출확대 범부처 협의체」를 구성, 우리나라 닭고기 제품을 처음으로 유럽연합(EU)과 영국에 수출한 성과를 냈다. 또한 식중독 예방을 위해 달걀 생산 농장 환경에 대한 정기적인 살모넬라 오염도 조사 체계를 구축하고 유통 중인 달걀의 살모넬라균 검사 항목을 확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