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앞으로 철도 운영기관은 지하철 혼잡도가 매우 심각할 경우 무정차 통과에 대한 여부를 필수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아울러 혼잡이 심각한 경우 각 지방자치단체는 소관 역사의 혼잡 상황을 안내하고 버스 등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도록 권고하는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하게 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인파 집중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이같은 내용의 수도권 전철 혼잡관리에 착수한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말 안타깝게 발생한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재난과 안전에 대한 국민인식이 크게 제고된 가운데, 위험도가 높은 분야에 대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것이다.
정부는 그동안 김포골드라인 등 혼잡도가 높은 노선을 대상으로 운행 간격을 단축하고 정차역사를 조정해왔으나 하루 평균 이용객이 매년 증가하면서 혼잡상황도 가중되는 추세다. 서울 지하철 4,7,9호선은 가장 붐비는 출근 시간대(오전 8시∼8시 30분) 평균 혼잡도가 150%를 넘어선다.
승하차, 환승이 많은 신도림(21만 5000명), 잠실(18만 7000명), 고속터미널(16만 9000명), 강남(16만 5000명) 등의 지하철 역사도 혼잡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정부는 '철도안전관리체계 기술기준'을 개정해 역사, 열차 혼잡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하는 체계를 마련키로 했다.
열차 혼잡도는 열차 탑승 기준인원 대비 실제 탑승 인원 비율로 정의한다. 역사 혼잡도는 승강장,통로, 계단에서 수용할 수 있는 적정 인원 대비 이용객 수로 정의했다. 이 비율이 130% 이하이면 '보통', 130∼150%면 '주의', 150∼170%면 '혼잡', 170% 이상이면 '심각' 단계로 관리할 예정이다.
혼잡도는 CCTV와 통신사,교통카드 데이터 등으로 수집한다. 정부는 혼잡도 '심각' 단계 시에는 철도 비상사태에 준하는 조치를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혼잡도가 혼잡에서 심각 단계일 경우, 철도 운영기관이 무정차 통과 여부를 필수적으로 검토하도록 상반기 중 '도시철도 대형사고 위기 대응 표준, 실무 매뉴얼'을 개정한다.
또 지방자치단체는 인파 밀집으로 인한 사고가 우려되는 운행구간, 역사 등의 혼잡상황을 재난안전문자를 통해 구체적으로 안내해야 한다. 아울러 역사,열차 내 혼잡도 기준에 따라 인파관리 전문인력(안전요원)을 승강장과 환승구역 등에 배치한다.
서울시는 275개 역사에 서울교통공사 직원 등 현장 관리인력 855명을 배치해 동선 분리,계도,응급상황 조치를 하기로 했다. 정부는 환승 체계 개편과 역사 시설 개선을 통한 인파 관리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정부는 철도 또는 도시철도 노선을 신설할 때 기본계획 단계에서 대도시권 환승역의 환승시간, 거리 등을 먼저 검토해 이용자 동선을 단축 및 단순화할 계획이다. 국토부 장관과 시도지사는 '철도 및 도시철도 기본계획' 수립 시 노선의 배치, 역사 위치 등 이용자 환승 편의에 미치는 요인을 사전에 검토해야 한다.
올해는 대구엑스코선, 강동하남남양주선의 환승 편의를 검토할 계획이다. 또 상반기부터 출퇴근 이용객이 붐비는 전철역 인근 광역버스 환승정류장과 같은 생활밀착형 환승시설의 혼잡, 불편 실태를 조사하고 환승동선상 장애물 이설, 대형 쉘터 설치 등을 통해 보행, 대기공간을 확보하는 등 맞춤형 개선방안도 수립키로 했다.
서울 지하철 9호선 등 혼잡도가 높은 노선은 열차 운행 횟수를 늘리고 추가 열차를 도입할 예정이다. 올해 상반기 중 서울 지하철 2, 3, 5호선은 예비열차를 통해 운행 횟수를 늘린다. 9호선은 내년에 8편성을 추가로 투입한다. 특히, 혼잡도가 가장 높은 김포골드라인은 열차 5편성을 추가 투입하는 시기를 내년 12월에서 9월로 앞당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수도권 전철 혼잡으로 인한 불편과 안전사고 위험성은 그간 꾸준히 제기됐으나 적절한 제도적 기반이 미흡했던 측면이 있었다"며 "상반기에 고시되는 철도안전기준 개정안을 통해 체계적 혼잡관리 기틀을 마련하고 역사시설,환승편의 개선으로 인파관리가 보다 효율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