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2월들어 어선 전복 및 침몰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또다시 제주 해상에서 10명이 탄 어선이 전복했다. 이중 5명은 구조됐으나 5명이 실종됐다.
연합뉴스가 12일 제주지방해양경찰청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이날 오후 7시 56분께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남서쪽 12㎞ 해상에서 서귀포 선적 근해연승어선 2066재성호(32t)가 풍랑을 만나 전복됐다. 이같은 사실은 이 배의 초단파무선전화(VHF-DSC) 긴급구조 신호가 수신됨으로써 확인됐다.
사고 해역에는 풍랑주의보가 발효 중으로 바람이 초속 18∼20m로 불고 3m 높이의 파도가 일고 있다. 전복 원인은 거센 풍랑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해경 함정은 이날 오후 8시께 현장에 도착해 뒤집힌 상태의 재성호를 발견했다. 재성호에는 한국인 6명과 외국인 4명 등 총 10명이 탄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외국인 4명(인도네시아 1, 베트남 3)과 한국인 선장 등 5명을 구조했다고 해경은 전했다. 나머지는 5명은 생사를 확인 중이다.
해경은 나머지 승선원에 대한 수색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경비함정 12척과 해경 구조대·특공대, 연안구조정 2척, 해군·지자체 3척, 민간 어선 4척, 항공기 1대 등이 동원됐다.
이에앞서 9일 오전 1시 41분께 여수시 삼산면 하백도 동쪽 약 17㎞ 해상에서 14명이 타고 있던 139t급 트롤 선박 제22서경호가 침몰했다. 이 사고로 14명(한국인 8명·외국인 6명) 중 선장 등 한국인 선원 4명이 사망하고, 6명이 실종됐으며, 4명은 구조됐다.
지난 1일 제주시 구좌읍 토끼섬 인근 해상에서 어선 2척이 좌초되는 사고로 승선원 15명 가운데 3명이 사망하고 외국인 선원 1명이 실종됐다. 나머지는 구조됐다.
지난달 9일에는 통영시 욕지도 남쪽 해상에서 9명이 탄 제주 선적 29t 근해연승어선이 뒤집혀 선원 4명이 숨지고 나머지 5명은 실종됐다.
올해 2월 어선의 전복 및 침몰 사고가 유독 잦다. 어선의 전복 및 침몰 사고의 공통점은 거센 바람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에 따르면, 2월 중순 남해안 지역은 북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데 이 바람이 해상 사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시기에 부는 북동풍은 초속 10∼20m를 넘나들기도 하는데, 남해안의 경우 지형적으로 섬이나 산 등 바람을 막아줄 수 있는 지형적 조건이 조성돼 있지 않다는 것. 이에따라 해상에 있는 작은 선박들이 바람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다는 설명이다.
최근 제주와 남해안 해역에서 발생한 5건의 연승, 통발어선 전복‧침몰사고를 분석해보면 기상악화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작은 어선도 먼 거리에 출어했다. 어선안전조업국과 어업인 간 ‘음성확인’으로 사고여부를 판단해 신속하게 사고징후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도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선 잇단 어선사고의 발생 원인으로 어민들의 무자격 운항과 안전 점검 미흡, 무리한 조업과 출항 등을 꼽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어선의 출항 및 조업이 금지되는 풍랑경보 발효 기준(현행 풍속 21m/s)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 특정 해역· 특정 시기에 기상특보가 집중되거나 전복·침몰 등 대형 인명피해 사고가 연속해서 발생하면 일시적으로 출항과 조업을 제한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할 필요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