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강진 사망 1000여명...美지질조사국 "1만명 상회" 전망

2025.03.29 21:59:06 이계홍 기자 kdsn6@gmail.com

붕괴 건물서 시신 속속 발견...美지질조사국 "1만명 이상 사망확률 71%"
방콕 빌딩 붕괴 현장 6명 사망…"잔해 밑 생존자 신호 포착"
미얀마 강진으로 유명 전통 사원 붕괴...건물 대부분 무너져 맨손으로 잔해 파내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미얀마강진으로 사망 1000여명으로 집계됐지만 일부에선 1만명이 넘을 것이라는 진단도 나오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 발표에 따르면 이번 지진으로 미얀마의 사망자는 1만명 이상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인근 지역 태국의 방콕 빌딩 붕괴 사고로 6명이 공식 사망했으나 잔해 밑에 생존자가 살려달라고 신음소리를 내 구조반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29일 연합뉴스와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얀마를 강타한 규모 7.7 강진 다음날인 29일(이하 현지시간) 사망자 수가 1000 명을 넘어선 가운데 인명 구조를 위해 미얀마·태국 당국과 국제사회가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미얀마의 경우 오랜 내전으로 인프라와 사회 시스템이 상당 부분 무너진 가운데 지진까지 덮치면서 치명타를 입은 데다 여진도 계속되고 있어 피해 규모가 엄청나게 불어날 가능성이 크다.

 

AFP 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미얀마 군사정권은 성명을 내고 이번 지진과 관련해 사망자 1002명, 부상자 2376명이 확인됐다고 발표했다.사망자 수는 전날 미얀마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이 밝힌 144명에서 하루 만에 약 7배로 불어났다. 진앙과 가까운 인구 약 120만 명의 미얀마 제2 도시 만달레이 등지에서 수많은 건물이 무너진 뒤 잔해에서 시신이 속속 발견되고 있다.

 

28일 낮 12시 50분께 미얀마 중부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떨어진 지점에서 규모 7.7 강진이 덮쳐 많은 건물이 무너지고 사람들이 매몰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또 이후 모두 12차례 여진이 감지됐다고 미얀마 기상 당국이 전했다. 여진 규모는 최소 2.8부터 최대 7.5에 달했다.

 

미얀마 당국과 국제기구, 구호단체 등은 인명 구조와 피해 규모 파악을 위해 애쓰고 있지만, 내전으로 정부 행정이 미치지 못하는 지역이 광범위한 데다 지진으로 도로·통신망이 상당 부분 파괴돼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처럼 피해 규모가 불어나는 가운데 구호단체 국제구조위원회(IRC)의 모하메드 리야스 미얀마 지부장은 "통신망이 끊기고 교통이 중단돼 지진으로 인한 피해의 전모를 파악하는 데 몇 주가 걸릴 수 있다"고 AP통신에 밝혔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 관련 보고서에서 지진 사망자가 10만명 이상일 확률 36%, 1만∼10만명 사이일 확률 35%로 사망자가 1만명 이상으로 불어날 가능성이 71%에 이른다고 추산했다.또 경제적 손실은 1천억 달러(약 147조원)가 넘을 확률이 33%, 100억∼1천억 달러(14조∼147조원)가 35% 등으로 미얀마 국내총생산(GDP)을 넘어설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영국 지질연구소(BGS)의 지진학자 브라이언 밥티는 미얀마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사가잉 단층의 약 200㎞ 구간이 약 1분 동안 파열되면서 일부 지역에서 단층 한쪽이 최대 5m까지 미끄러져 움직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100만 명 이상 주민의 다수가 목재와 보강되지 않은 벽돌로 지어진 취약한 건물에서 사는 지역에서 대지진이 발생하면 "그 결과는 종종 재앙이 될 수 있다"면서 "초기 보고에 따르면 여기서도 그럴 가능성이 크다"고 관측했다.
 

이런 가운데 구체적인 인명피해 사례들이 속속 전해지고 있다.이번 지진으로 초토화된 만달레이의 붕괴한 한 아파트 건물에서는 시신 30구가 수습됐다고 현지 구조대원이 밝혔다. 이 구조대원은 "마을이 무너진 도시처럼 보인다"면서 이 지역 건물의 약 5분의 1이 파괴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만달레이의 다른 아파트 지구에서는 무너진 건물에 90명 이상이 매몰된 것으로 우려된다고 적십자 관계자가 AFP통신에 밝혔다. 이밖에 파야 타웅 사원의 붕괴로 승려 수십 명이 매몰됐고 사원 등  주요 건물이 무너졌다.

 

 

Copyright @한국재난안전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한국재난안전뉴스 | 주소 : (028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23길 47, 603-486호 | 전화번호 : 02-735-0274 등록번호 : 서울,아53882 | 등록일 : 2021-08-11 | 발행일 : 2021-08-11 | 발행인 : 김찬석 | 편집인 : 이계홍 Copyright @한국재난안전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