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면 플라스틱 오염천국"...국제협약 대응 순환경제 논하다

정부간협상위원회 대응 전략 마련 위해 전문가 및 산업계 의견 수렴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갈수록 커지고 있는 플라스틱 오염은 위험수준을 넘어선 지 오래입니다. 플라스틱 환경 오염 국제협약에 적극 대응해야 합니다."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국내 플라스틱 정책을 수립하고,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 대응 전략을 구체화 하기 위해  21일 오후 한강홍수통제소(서울 서초구 소재)에서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 대응을 위한 '플라스틱 순환경제 포럼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는 환경부 장관 주재로 플라스틱 생산자, 폐플라스틱 재활용업체, 유관기관, 전문가 및 시민단체가 참석했다.

 

환경부는 올해 여러 전문가들과 소통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국내 플라스틱 정책을 수립하고,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 대응 전략을 구체화 하기 위해 플라스틱 순환경제 전문가 포럼을 구성·운영해오고 있다.

 

이번 간담회는 그 일환으로 △플라스틱 순환경제 전문가 포럼 운영 방안 △플라스틱 국제협약 정부간협상위원회 대응 방안에 대한 주제발표 및 논의로 진행됐다.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은 지난해 3월 케냐에서 열린 제5차 유엔환경총회에서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다루기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을 추진하자는 결의안이 처음으로 채택되면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됐다. 이어서 지난해 11월에 제1차 정부간협상위원회가 우루과이에서 열렸고, 제2차 회의는 올해 5월 파리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플라스틱 국제협약 논의가 본격화되면 플라스틱 생산, 유통, 소비, 수거, 재활용 및 국제무역 등 전생애 주기에 걸쳐 국민의 생활과 기업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환경부는 그간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 제2차 정부간협상위원회 준비를 위해 주요 국가 및 이해관계자들의 동향을 지속적으로 살펴보고, 산업계의 의견을 수렴한 후 관계부처 협의를 거치는 등 우리 실정에 맞는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환경부는 전생애 주기 관점에서 플라스틱 순환경제 이행 및 대응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앞으로도 플라스틱 순환경제 전문가 간담회를 활성화하는 등 지속적으로 소통할 계획이다.

 

현재 플라스틱 환경 오염은 전 세계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주요 이유로는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증가 및 이후 후처리 과정에서 순환경제 인식 부족, 미세 플라스틱 등으로 지목되고 있다. 


특히,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생산과 사용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제품들이 환경에 버려지거나 쓰레기 처리 시설에서 처리되는 과정에서 미세 플라스틱 입자가 발생하고, 제대로 된 재활용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쓰레기가 바다나 강으로 유출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한, '마이크로 비드'로 불리는 일부 화장품, 플라스틱 옷 등에서 발생하는 작은 플라스틱 입자로, 세탁 과정에서 수질로 배출된다. 

이러한 문제는 생태계를 파괴하고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며, 플라스틱 오염이 식물, 동물, 그리고 인간에게도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미 우리가 확인하고 있으며, 특히 해양 생태계에서 플라스틱 오염은 물고기, 조개 등의 해산물을 먹는 우리에게 유해한 영향을 줘, 결국 모든 게 '원 헬스'(one health)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또한, 플라스틱 오염은 기후 변화와도 관련이 있으며, 플라스틱은 석유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석유 사용량을 증가시키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늘린다는 방증이며,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않으며 결국 기후 재난을 가속화시키는 주 원인으로 지적된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플라스틱 오염이라는 전 세계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4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