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재난으로 돌변한 물폭탄..감전사고 이렇게 주의하세요

차단기 내리고 가전제품 플러그 뽑아두기… 물 고인 거리 입간판 돌아가기
장마·집중호우 기간인 6~8월 연간 감전사고 전체 사상자 29.9% 차지

 

한국재난안전뉴스 장수빈 기자 | 지난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에 내린 누적 강수량 525mm의 '괴물 물폭탄'으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곳곳에서 인명과 재산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침수에 따른 감전사고가 이어졌다. 
 

12일 한국전기안전공사 등에 따르면, 2020년도 기준으로 장마와 집중호우가 잦은 6~8월에 일어난 감전사고 사상자는 122명으로 전체(408명)의 29.9%에 이른다. 이 기간에는 감전사고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전기안전공사 측은 예고 없는 자연재해를 막을 수는 없어도,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대처 요령을 알면 그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며 폭우 대비 전기안전수칙을 안내했다.

 

-침수대비

평소 집 밖 하수구나 배수시설이 막혀 있지는 않은지 미리 점검하고 물길을 틔워둔다. 또한 음식점·상가에서 거리에 비치한 에어간판 등 전기시설물은 건물 안 안전한 장소로 옮겨놓아야 한다.

 

-옥내시설 점검 

주택 내 설치되어 있는 누전차단기 시험버튼을 눌러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집이나 건물 안팎에 노출된 전선의 피복 상태를 확인하는 일도 중요하다. 벗겨지거나 갈라진 전선은 전기공사업체 전문가에게 요청해 새 것으로 교체한다. 비가 오거나 침수 중인 상황에서는 함부로 전선에 손을 대거나 접근해선 안 된다.

 

-침수 시 

폭우로 집에 물이 들어오면, 가장 먼저 현관 앞 벽에 있는 누전차단기부터 내려야한다. 가전제품 플러그를 뽑아두는 것도 잊어선 안 될 일이다. 이때 반드시 고무장갑을 사용해 탈착시키도록 한다.

 

-배수 후

 물 빠진 후라도 바로 차단기를 올려 전기를 쓰는 것은 위험하다. 물기가 마르지 않은 상태서 전기제품을 사용하면 감전 등 2차사고 우려가 크므로 물에 한번 잠긴 전기기기는반드시 해당 제품 A/S센터나 전기공사 전문가에게 점검을 맡긴 후 사용해야한다. 쓰러진 가로수나 거리 입간판 등을 복구할 때도 가공전선로에 접촉되지 않도록 유의하여 작업해야 한다.

 

-외출 시

집중호우 예보가 있거나 거리가 물에 잠긴 경우, 가능한 한 외출은 삼가하도록 한다. 불가피하게 밖을 나가야 한다면, 보행 시 가로등·신호등·맨홀 뚜껑 등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시설물 주의는 멀리 피해서 간다.

 

-감전사고 발생 시

만약 현장에서 감전사고가 일어나면 사고자를 구하려고 신체에 직접 손을 대는 일은 없어야한다. 먼저 차단기부터 내리고 119에 신고한 뒤, 고무장갑이나 목재 등 절연체를 이용해 사고자를 전선이나 도체로부터 떼어놓는다.

 

-응급조치

사고자를 안전한 곳으로 옮겨 의식과 호흡, 맥박 상태를 살핀 후, 구급대원이 올 때까지 심폐소생술 등의 응급조치를 한다. 사고 직후 심각한 증세를 보이지 않더라도, 작은 화상이 관찰되거나 골절 가능성이 있으면 즉시 병원으로 이송한다. 구급차가 오는 동안 함부로 물이나 음료 등을 주지 않는다.

 

한국전기안전공사 관계자는 “습한 날씨에 비나 물이 몸에 닿으면 평소보다 20배 가량 전기가 잘 통해 감전사고 위험이 높아진다”며 “침수된 곳에서 물을 퍼내려고 할 때도 전기사고에 유의해야한다”라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