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치솟는 물가 안정책, 기민하게 강구하라

경제의 기본은 물가...발등의 불 꺼야

한국재난안전뉴스 최종걸 편집인 | 각국이 치솟는 물가로 아우성이다. 우리도 예외는 아니다.  미국 물가 상승률은 40년 만에 최고치인 7%, 유로존 물가는 25년 만에 7.5%, 터키는 61%나 폭등했다고 한다. 그리고 남미 페루에서는 물가 폭등에 항의하는 시위로 통행금지령까지 발동했다고 한다. 페루 3월 소비자물가가 연초 대비 6.82%로 치솟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1998년 8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페루에서는 급등한 유가와 통행료, 식품 가격 등에 항의하는 시위이다. 내용은 우리와 다르지 않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1% 올랐다. 불과 1년만이다. 이 수치는 2011년 12월 이후 10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5.0%나 급등했다고 한다. 체감할 수 있는 외식비 상승률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4월(7.0%) 이후 가장 높은 6.6%를 기록했다고 한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월(0.9%)>2월에 1%대>4월 2%대>10월 3%대에 이어 올해들어 지난 3월 4%대까지 고공행진중이다. 러시아발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으로 지난해 말 배럴당 60달러 대에 머물던 국제유가가 120달러로 껑충 뛰었고, 밀과 옥수수 등 주요 곡물 가격이 40~50%나 치솟았다.

 

국제수지에서도 수입물가 상승 여파를 보여주고 있다. 3개월째 수출보다 수입물가가 급증해 무역수지 적자의 주범이 되고 있다. 수입물가가 높은데다 환율까지 치솟아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물가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국민 식품이라 할 수 있는 라면부터 간식거리인 스낵, 국민주라 할 수 있는 막걸리까지 지난 1년 사이 슬금슬금 오르더니 이제는 성인기준으로 왠만한 식당에서 1만원짜리 돈으로는 메뉴선택은 물론 막걸리는 꿈도 꾸지 못하는 물가이다. 우리나라에 와 있는 외국인들은 과일 사먹기가 겁난다고 한다. 우리돈 1천원이면 한 아름 살 수 있는 과일이 1개도 못사기 때문이란다. 세계 경제 10대대국으로 진입했기 때문에 물가도 그에 걸맞은 고물가라면 할말은 없지만 물가는 경제를 좀먹는 바이러스나 다름없다.

 

바이러스인 코로나가 세계를 봉쇄시켜 공급망을 교란시켰다면 물가는 정부 경제정책을 무용지물로 만들 수 있다. 물가가 치솟으면 실질소득을 기대할 수 없고 우리같이 가계부채가 최고속도로 늘어나는 상황에서는 이를 잡기 위한 금리 인상까지 촉발하기 때문이다. 물가에 이자부담까지 이중고를 겪을 수 있다. 실질소득의 원천이라 할 수 있는 임금인상은 쥐꼬리인데 생활물가가 치솟는다면 임금인상분을 좀먹고 오히려 실질소득마저 감소시킨다. 근로자는 물가 탓으로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기업주들은 수입물가 탓으로 임금동결을 요구한다면 노사간 분쟁을 촉발시킬 수 있다. 지금 그 상황이다.

 

문제는 고공행진 물가의 주범인 국제 공급망을 고려하면 더 올랐으면 올랐지 안정화될 것 같지는 않다는 점이다. 코로나에 이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공급망 불안요소가 돌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의 공장이라 할 수 있는 중국은 동계올림픽에 이어 오는 9월 항조우아시안게임을 앞두고 코로나와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주요 공장과 항구를 끼고 있는 도시 봉쇄로 맞서고 있다. 우리 주요 경제파트너인 중국의 공장과 항구 봉쇄 조치는 적기 물류의 적신호가 된 지 오래이다.

 

경제원론적인 이야기지만 물가가 이처럼 대책 없이 오르면 성장을 좀먹는 물가는 오르는데 성장은 더딘 현상을 동반한다. 안 그래도 코로나에 시름은 깊어지는데 물가와 금리 인상마저 겹친다면 아무리 빛 좋은 정책도 빛 좋은 개살구처럼 될 수 밖에 없는 노릇이다. 

 

누군가 그럴 수 있다. "이봐, 문제는 경제야". 그 경제의 기본은 물가 안정이라고. 당장 물가라는 발등에 불부터 끄고 볼 일이다.

 


기획·칼럼